MB·오바마 등 105개국 정상 '탄소 감축' 한 목소리 낼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코펜하겐 기후회의 개막
'0 대 105.'1997년 교토의정서가 채택됐던 제3차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총회와 7일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개막되는 15차 총회에 참석하는 각국 정상들의 숫자다. 지구촌 역사상 최초로 온실가스 감축을 결의한 국제협약인 교토의정서가 나왔을 당시만 해도 지구온난화는 일부 선진국들만의 썰렁한 논쟁거리로 치부됐다. 하지만 그로부터 12년이 흐른 지금 '더워지는 지구'는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국경을 뛰어넘는 공동 해결과제'가 됐다.
이번 총회 막바지(17~18일)에 열릴 정상회담 규모는 1995년 독일 베를린에서 열렸던 1차 총회 이래 사상 최대다. 몇 주일 전만 하더라도 UNFCCC 192개 회원국 중 정상이 참석을 통보한 나라는 65개국에 불과했지만 지구온난화라는 환경재앙을 외면해선 안 된다는 여론이 거세게 일면서 막판에 참가국 수가 불어났다. 정상들이 참석할 105개국의 총인구와 국내총생산(GDP) 비율은 각각 세계 전체의 82%와 89%를 차지하고,이들이 배출하는 온실가스도 전체 중 80%에 달한다. CNN머니는 "지금까지 지구온난화 해결을 위해 이처럼 많은 정상들이 모인 적은 없었다"며 "구체적인 새 협약이 나오지 못한다 할지라도 이번 총회는 그 규모만으로도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전했다.
주최국인 덴마크는 지구의 평균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에 비해 2도 이내로 유지해야 하며 이를 위해 2020년을 온실가스 배출의 정점으로 만들고 2050년까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을 1990년 대비 50% 감축하는 방안을 참가국들에 제시했다. 중국과 인도 브라질 등 주요 개도국들이 선진국들의 역사적 책임을 거론하며 거부 입장을 밝혔지만 덴마크의 제안은 이번 회의에서 진행될 논의의 뼈대가 될 전망이다. 아울러 개도국의 기후변화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돈을 선진국 가운데 어느 나라가 얼마나 내야 하느냐는 문제도 이번 총회의 핵심 쟁점이다.
이번 총회에선 구속력 있는 새 협약은 마련하지 못할 것이며,내년 6월 독일 총회나 내년 12월 멕시코 총회까지 가야 겨우 도출이 가능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구속력이 있는 정치적 합의가 큰 틀에서 이뤄질 것이란 예상도 나오고 있다. 특히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당초 9일 하루만 들르려던 일정을 바꿔 총회 최종일에 참석하기로 하고,개도국 그룹을 이끄는 인도의 만모한 싱 총리가 전격 참여를 결정한 것이 총회에 큰 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개도국의 온난화 대처를 지원하기 위해 2012년까지 매년 100억달러씩 기금을 조성하자며 영국과 프랑스가 지난달 내놓은 제안에 대해 미국 측이 "적정한 몫을 부담하겠다"고 밝힌 점도 긍정적 영향을 줄 전망이다.
이명박 대통령도 총회에 참석하기로 결정했다. 김상협 청와대 미래비전비서관은 "이 대통령은 오는 17일 오전에 한국을 출발,기내에서 1박을 하는 등 모두 3일간의 짧은 일정으로 정상회의에 참석하며 수행단도 최소 규모로 구성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정부 협상단도 대폭 축소해 실속 있게 구성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은 18일 열리는 정상회의에서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 등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한국 정부의 자발적이고 단독적인 역할을 국제사회에 알리고 동참을 호소해 국익과 국격 제고에 힘쓸 계획이라고 청와대 측은 밝혔다.
홍영식/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
이번 총회 막바지(17~18일)에 열릴 정상회담 규모는 1995년 독일 베를린에서 열렸던 1차 총회 이래 사상 최대다. 몇 주일 전만 하더라도 UNFCCC 192개 회원국 중 정상이 참석을 통보한 나라는 65개국에 불과했지만 지구온난화라는 환경재앙을 외면해선 안 된다는 여론이 거세게 일면서 막판에 참가국 수가 불어났다. 정상들이 참석할 105개국의 총인구와 국내총생산(GDP) 비율은 각각 세계 전체의 82%와 89%를 차지하고,이들이 배출하는 온실가스도 전체 중 80%에 달한다. CNN머니는 "지금까지 지구온난화 해결을 위해 이처럼 많은 정상들이 모인 적은 없었다"며 "구체적인 새 협약이 나오지 못한다 할지라도 이번 총회는 그 규모만으로도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전했다.
주최국인 덴마크는 지구의 평균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에 비해 2도 이내로 유지해야 하며 이를 위해 2020년을 온실가스 배출의 정점으로 만들고 2050년까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을 1990년 대비 50% 감축하는 방안을 참가국들에 제시했다. 중국과 인도 브라질 등 주요 개도국들이 선진국들의 역사적 책임을 거론하며 거부 입장을 밝혔지만 덴마크의 제안은 이번 회의에서 진행될 논의의 뼈대가 될 전망이다. 아울러 개도국의 기후변화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돈을 선진국 가운데 어느 나라가 얼마나 내야 하느냐는 문제도 이번 총회의 핵심 쟁점이다.
이번 총회에선 구속력 있는 새 협약은 마련하지 못할 것이며,내년 6월 독일 총회나 내년 12월 멕시코 총회까지 가야 겨우 도출이 가능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구속력이 있는 정치적 합의가 큰 틀에서 이뤄질 것이란 예상도 나오고 있다. 특히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당초 9일 하루만 들르려던 일정을 바꿔 총회 최종일에 참석하기로 하고,개도국 그룹을 이끄는 인도의 만모한 싱 총리가 전격 참여를 결정한 것이 총회에 큰 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개도국의 온난화 대처를 지원하기 위해 2012년까지 매년 100억달러씩 기금을 조성하자며 영국과 프랑스가 지난달 내놓은 제안에 대해 미국 측이 "적정한 몫을 부담하겠다"고 밝힌 점도 긍정적 영향을 줄 전망이다.
이명박 대통령도 총회에 참석하기로 결정했다. 김상협 청와대 미래비전비서관은 "이 대통령은 오는 17일 오전에 한국을 출발,기내에서 1박을 하는 등 모두 3일간의 짧은 일정으로 정상회의에 참석하며 수행단도 최소 규모로 구성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정부 협상단도 대폭 축소해 실속 있게 구성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은 18일 열리는 정상회의에서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 등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한국 정부의 자발적이고 단독적인 역할을 국제사회에 알리고 동참을 호소해 국익과 국격 제고에 힘쓸 계획이라고 청와대 측은 밝혔다.
홍영식/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