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시간을 정복했다. '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는 7일 인터넷 검색 제왕인 구글이 인터넷 공간을 넘어 현실세계 정복에 나섰다고 보도했다.

구글은 이날 미 캘리포니아주의 구글플렉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개인 블로그 등에 올라온 댓글까지 초단위 검색이 가능한 '실시간 검색 서비스'를 내놓았다.

◆10억개 웹페이지 한번에 모니터링

실시간 검색 서비스는 구글 트렌드(Google Trends) 화면에서 검색어를 치면 트위터,페이스북,마이스페이스 등 소셜네트워킹(인맥관리) 사이트와 개인 블로그 등에 올라온 댓글 및 게시글까지 수초 안에 찾아주는 것이다. 또 자동 업데이트 기능을 갖춰 검색 버튼을 여러 번 누르지 않아도 새로운 정보가 실시간으로 올라온다. 예컨대 검색어로 '타이거 우즈'를 치면 관련 뉴스는 물론 블로그 게시물까지 빠짐없이 검색되고 트위터에 관련 댓글이 달린 뒤 수초 내 확인이 가능하다.

마리사 메이어 구글 검색담당 부사장은 "그동안 구글에서 블로그 게시물과 뉴스 등이 검색 결과에 반영되기까지는 수분이 걸렸다"며 "정보가 초단위로 오가는 최근 인터넷 환경과는 맞지 않다"고 설명했다. 구글은 수많은 네티즌이 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크 사이트를 통해 실시간 정보를 검색하는 것에 착안해 이번 서비스를 고안했다. 인기 블로그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들을 놓치지 않고 포착해 검색 영역을 확장시키겠다는 전략이다. 구글은 이를 위해 10억개의 웹페이지를 한꺼번에 모니터링할 수 있는 12개의 신기술을 개발했다.

구글은 실시간 검색 서비스를 위해 트위터와 무료 정보교환 계약도 맺었다. 트위터 공동 창업자인 비즈 스톤은 "우리는 현재로선 구글만큼 뛰어난 검색엔진을 갖추지 못했다"며 "트위터와 구글이 만나면 사용자들이 더 많은 가치를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글은 페이스북과 마이스페이스와도 제휴를 맺었지만 이 사이트에 대한 실시간 검색은 내년 초부터 가능할 전망이다.

실시간 검색은 이미 검색엔진 분야의 화두로 떠올랐다. 구글에 대항해 신형 검색엔진인 '빙(Bing)'을 내놓은 마이크로소프트(MS)는 지난 10월 트위터의 업데이트 자료인 '트위츠'를 검색 결과에 포함시켰고,야후도 페이스북의 업데이트 내용을 검색 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다.

◆빅 브러더 우려도

구글은 이날 휴대폰으로 찍은 사진과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있는 '구글 고글'과 휴대폰 음성통화 검색 및 통역이 가능한 신기술도 소개했다. 구글은 최근 스마트폰용으로 자체 개발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 탑재 휴대폰에 영어와 중국어에 이어 일본어 음성 검색 기능을 추가했다.

빅 군도트라 구글 엔지니어링 책임자는 "구글의 궁극적 목표는 세상의 '마우스 포인터(화살표)'가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구글은 이 밖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에 무엇이 있는지를 알려주는 '주변에 무엇이(What's Nearby)' 서비스도 준비 중이다.

일각에선 구글이 현실세계의 모든 정보를 구글 검색엔진 속으로 끌어들여 결국 '정보의 독재자'로 군림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구글의 실시간 검색과 사진 및 동영상 검색,위치 검색 서비스를 악용할 경우 네티즌의 일거수 일투족을 감시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인터넷상의 루머와 확인되지 않은 사실까지 공식 검색창에 잡히면 질 낮은 정보로 인해 네티즌이 혼란에 빠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구글은 세계 인터넷 검색엔진 시장의 70% 이상을 장악하고 있으며 MS와 야후 점유율은 합쳐도 10%를 밑돈다. 구글은 실시간 검색 서비스가 시장 지배력을 더욱 확고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구글은 압도적인 점유율에 힘입어 연간 210억달러 이상의 광고 수입을 거두고 있다.

김미희 기자 iciic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