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검사 끝나자마자 비리? 금감원, KB검사 '무리수' 논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행장 운전기사까지 이례적 조사
금융감독원이 최근 KB금융지주와 국민은행을 상대로 이례적으로 고강도 사전검사를 실시해 그 배경과 목적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사전검사 과정에서 주요 부서장의 컴퓨터(PC) 12대를 압수해가고 강정원 국민은행장의 차량 운전기사까지 면담한 것으로 알려져 검사 수위의 적정성에 대한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이번 금감원의 고강도 조사가 차기 KB지주 회장으로 내정된 강 행장을 겨냥한 것으로 보고 있다. 사전조사가 끝나자마자 금감원이 일부 KB금융지주 사외이사들의 비리가 포착됐다고 밝히고 나섰기 때문이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사외이사들에게 도덕적 · 법적 하자가 있다는 의혹을 제기함으로써 그 불똥을 강 행장에게까지 옮기겠다는 의도가 아니겠냐"며 "문제가 있는 사외이사들에 의해 회장으로 추천된 강 행장은 안 된다는 게 금융당국의 생각인 것 같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황영기 전 KB 회장이 물러난 직후인 10월 차기 회장 선임 일정을 늦춰달라고 KB 측에 요청했는데 사외이사들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자 KB 사외이사들과 강 행장에게 '괘씸죄'를 묻고 있다는 분석이다.
금융권에선 금감원이 통상적인 사전검사에 비해 검사의 수위를 대폭 높인 것에 대해 윗선과의 교감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특히 사외이사와 관련해선 지난 2월에 한 차례 검사를 실시했었는데 이번에 또다시 검사를 한 것은 금융당국보다 힘센 권력의 지시가 있지 않고서는 불가능한 것 아니냐는 풀이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선 정부가 현안도 많은 마당에 KB 문제에 개입할 이유가 없으며 금융당국이 위신 회복 차원에서 단독으로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금융권에선 검사의 수위에 대해 문제가 많다고 보고 있다. 금감원의 사전검사는 본검사인 종합검사에 앞서 방향과 대상을 정하는 준비단계 성격으로 통상 3~4일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는 정도에서 마무리된다. 인원도 대개 해당 금융회사를 담당하는 3~4명이 투입된다. 그러나 KB에 대한 사전검사는 14명에 이르는 검사인력이 투입됐고 기간도 일주일에 달했다. 특히 PC 12대를 갖고 간 것은 지금까지 종합검사에서도 보지 못한 것이어서 검찰의 압수수색을 방불케 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금감원은 더불어 강 행장의 차량기사까지 면담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만약 행장의 비리가 확인됐다면 모르겠지만 그런 정황도 없는데 개인 비서나 다름 없는 차량 기사를 조사하는 것은 유례가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금감원이 사외이사들에 대한 불법행위 혐의를 흘리고 있는 것은 더욱 큰 문제라는 지적이다. KB 사외이사들이 비리를 저질렀다면 그에 맞게 조치를 취할 일이지 언론 플레이에 나설 일이 아니라는 얘기다.
강동균/김현석 기자 kdg@hankyung.com
특히 사전검사 과정에서 주요 부서장의 컴퓨터(PC) 12대를 압수해가고 강정원 국민은행장의 차량 운전기사까지 면담한 것으로 알려져 검사 수위의 적정성에 대한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이번 금감원의 고강도 조사가 차기 KB지주 회장으로 내정된 강 행장을 겨냥한 것으로 보고 있다. 사전조사가 끝나자마자 금감원이 일부 KB금융지주 사외이사들의 비리가 포착됐다고 밝히고 나섰기 때문이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사외이사들에게 도덕적 · 법적 하자가 있다는 의혹을 제기함으로써 그 불똥을 강 행장에게까지 옮기겠다는 의도가 아니겠냐"며 "문제가 있는 사외이사들에 의해 회장으로 추천된 강 행장은 안 된다는 게 금융당국의 생각인 것 같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황영기 전 KB 회장이 물러난 직후인 10월 차기 회장 선임 일정을 늦춰달라고 KB 측에 요청했는데 사외이사들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자 KB 사외이사들과 강 행장에게 '괘씸죄'를 묻고 있다는 분석이다.
금융권에선 금감원이 통상적인 사전검사에 비해 검사의 수위를 대폭 높인 것에 대해 윗선과의 교감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특히 사외이사와 관련해선 지난 2월에 한 차례 검사를 실시했었는데 이번에 또다시 검사를 한 것은 금융당국보다 힘센 권력의 지시가 있지 않고서는 불가능한 것 아니냐는 풀이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선 정부가 현안도 많은 마당에 KB 문제에 개입할 이유가 없으며 금융당국이 위신 회복 차원에서 단독으로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금융권에선 검사의 수위에 대해 문제가 많다고 보고 있다. 금감원의 사전검사는 본검사인 종합검사에 앞서 방향과 대상을 정하는 준비단계 성격으로 통상 3~4일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는 정도에서 마무리된다. 인원도 대개 해당 금융회사를 담당하는 3~4명이 투입된다. 그러나 KB에 대한 사전검사는 14명에 이르는 검사인력이 투입됐고 기간도 일주일에 달했다. 특히 PC 12대를 갖고 간 것은 지금까지 종합검사에서도 보지 못한 것이어서 검찰의 압수수색을 방불케 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금감원은 더불어 강 행장의 차량기사까지 면담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만약 행장의 비리가 확인됐다면 모르겠지만 그런 정황도 없는데 개인 비서나 다름 없는 차량 기사를 조사하는 것은 유례가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금감원이 사외이사들에 대한 불법행위 혐의를 흘리고 있는 것은 더욱 큰 문제라는 지적이다. KB 사외이사들이 비리를 저질렀다면 그에 맞게 조치를 취할 일이지 언론 플레이에 나설 일이 아니라는 얘기다.
강동균/김현석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