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자금, 부동산보다 주식으로 마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보건사회硏 조사
일반 성인 남녀들은 노후대책 자금마련 수단으로 국민연금→주식→부동산 순으로 꼽았다.
28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06~2010년)'의 주요 정책에 대한 대(對)국민 정책체감도 및 우선순위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79.3%가 노후 생활에 있어 경제적 문제가 큰 걱정거리라고 답했으며 편안한 노후생활을 위한 소득원으로 국민연금(31.8%)을 1순위로 꼽았다.
이어 주식이나 펀드 · 예금(21.1%),개인연금(16.1%),부동산(12.6%)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올 5~7월 전국 만 25세 이상 성인 남녀 6189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저출산 · 고령화 현상을 심각하게 인식하느냐'는 질문에는 64.3%가 '그렇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59.6%는 '키우는 게 힘들더라도 자녀를 여러 명 가져야 한다'고 답해 눈길을 끌었다. 정부의 저출산 · 고령화 정책 가운데 가장 피부에 와 닿는 정책으로는 '영유아 보육 · 교육비 지원'과 '기초노령연금 확대'를 각각 꼽았다.
김동민 기자 gmkdm@hankyung.com
28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06~2010년)'의 주요 정책에 대한 대(對)국민 정책체감도 및 우선순위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79.3%가 노후 생활에 있어 경제적 문제가 큰 걱정거리라고 답했으며 편안한 노후생활을 위한 소득원으로 국민연금(31.8%)을 1순위로 꼽았다.
이어 주식이나 펀드 · 예금(21.1%),개인연금(16.1%),부동산(12.6%)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올 5~7월 전국 만 25세 이상 성인 남녀 6189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저출산 · 고령화 현상을 심각하게 인식하느냐'는 질문에는 64.3%가 '그렇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59.6%는 '키우는 게 힘들더라도 자녀를 여러 명 가져야 한다'고 답해 눈길을 끌었다. 정부의 저출산 · 고령화 정책 가운데 가장 피부에 와 닿는 정책으로는 '영유아 보육 · 교육비 지원'과 '기초노령연금 확대'를 각각 꼽았다.
김동민 기자 gmkd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