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세종시 수정안을 내달 11일 발표하기로 한 가운데 최종 수정안 마련작업에 돌입했다.

정부는 28일 제6차 세종시 민관합동위원회를 열고 세종시에 9부2처2청의 행정부처를 옮기는 대신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유치함으로써 자족기능을 강화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또 내달 5일과 8일 두 차례 회의를 열고 △부처이전 백지화 △과학비즈벨트 유치 △기업 및 대학에 대한 인센티브 방안 △특목고 설립 등에 관해 종합적인 논의를 할 예정이다. 이어 내달 11일 최종 수정안을 제시키로 했다.

민관합동위원장을 맡고 있는 정운찬 국무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지금까지의 논의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와 충청권의 미래를 위한 최선의 방안을 내놓고 충청지역은 물론 국민 여러분의 이해를 구할 때가 오지 않았나 생각한다"며 수정안이 충청권을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을 내비쳤다.

세종시에 들어올 대기업 1곳은 이미 확정됐으며 현재 구체적인 인센티브와 관련해 최종 막판 조율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세종시 실무기획단장인 조원동 총리실 사무차장은 "내달 11일 최종 수정안 발표 때 몇 개 기업과 대학 등이 세종시에 입주한다는 정도는 밝힐 수 있을 지 몰라도 구체적인 기업명단은 포함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시에 입주하는 대기업은 삼성전자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김종필 전 자민련 총재는 이날 세종시 문제와 관련,"정부의 수정안만 좋으면 충청도민들을 설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전 총재는 이날 오후 자택을 방문한 정운찬 총리에게 "충청도 사람들이 조금씩 변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김 전 총재 측의 김상윤 특보는 "김 전 총재는 원론적으로 행정부처 이전에 반대하는 입장"이라면서 "그러나 노무현 정부에 이어 이명박 정부에서 충청도 사람들이 '배신당한 게 아니냐'는 반감을 많이 갖고 있으니까 (정부가) 서두르지말고 차근차근 대응해야 한다는 게 김 전 총재의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