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둥역 경계 대폭 강화…김정일 訪中 임박設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닛케이 "北ㆍ中 국경 세관도 폐쇄"
북한과 중국의 접경지대에 있는 세관이 지난 5일부터 특별한 허가 없이는 통과가 불가능해지는 등 사실상 폐쇄됐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6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또 북 · 중 연결 철도의 단둥역에는 경찰관 수가 크게 증원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방중을 위한 준비가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고 단둥시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해 전했다.
김 위원장은 2000년부터 네 차례 중국을 방문했다. 마지막 방문이 2006년 1월이어서 시기적으로도 "곧 방중이 있을 것"이란 관측이 높아지고 있다.
김 위원장의 방중이 이뤄질 경우 한반도 비핵화 문제가 중요한 의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 언론들은 김 위원장이 이번에 후진타오 중국 주석과 회담하고,북핵 문제에 대한 조율과 대규모 경제 지원 및 북 · 미협상에 대한 장기 전략을 협의할 것으로 분석했다. 김 위원장이 후 주석에게 경제회복을 위한 개방 정책에 대해 자문을 구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한편 미 국무부 고위당국자는 김 위원장의 중국 방문 관측에 대해 "북한이 중국에 6자회담 복귀 의사를 전달한다면 환영할 일"이라고 논평했다.
그는 "김 위원장의 중국 방문 여부에 대한 정보는 없다"면서도 사견임을 전제로 "지난해 중국 측의 북한 방문에 대한 답방 형식으로 김 위원장의 베이징 방문이 이뤄진다면 환영할 일이며,그의 말과 행동을 주시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만약 김 위원장이 중국을 방문해 중국 당국자들에게 '6자회담에 복귀하고,상황을 진전시키겠다'는 뜻을 밝힌다면 그것은 반가운 뉴스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도쿄=차병석 특파원 chabs@hankyung.com
이 신문은 또 북 · 중 연결 철도의 단둥역에는 경찰관 수가 크게 증원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방중을 위한 준비가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고 단둥시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해 전했다.
김 위원장은 2000년부터 네 차례 중국을 방문했다. 마지막 방문이 2006년 1월이어서 시기적으로도 "곧 방중이 있을 것"이란 관측이 높아지고 있다.
김 위원장의 방중이 이뤄질 경우 한반도 비핵화 문제가 중요한 의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 언론들은 김 위원장이 이번에 후진타오 중국 주석과 회담하고,북핵 문제에 대한 조율과 대규모 경제 지원 및 북 · 미협상에 대한 장기 전략을 협의할 것으로 분석했다. 김 위원장이 후 주석에게 경제회복을 위한 개방 정책에 대해 자문을 구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한편 미 국무부 고위당국자는 김 위원장의 중국 방문 관측에 대해 "북한이 중국에 6자회담 복귀 의사를 전달한다면 환영할 일"이라고 논평했다.
그는 "김 위원장의 중국 방문 여부에 대한 정보는 없다"면서도 사견임을 전제로 "지난해 중국 측의 북한 방문에 대한 답방 형식으로 김 위원장의 베이징 방문이 이뤄진다면 환영할 일이며,그의 말과 행동을 주시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만약 김 위원장이 중국을 방문해 중국 당국자들에게 '6자회담에 복귀하고,상황을 진전시키겠다'는 뜻을 밝힌다면 그것은 반가운 뉴스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도쿄=차병석 특파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