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 24절기 바꿨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근 10년 평균기온 영하 0.3~영상 3.3도 변화
[한경닷컴]
특정 시기의 기후를 알려주는 24절기의 특성이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여름철 절기의 평균ㆍ최고ㆍ최저기온은 대체로 변화가 없었으나 겨울철 절기는 온도 상승 경향이 뚜렷했다.
11일 기상청이 발간한 ‘기후변화 이해하기 5-입춘에서 대한까지’에 따르면 지난 90년간 한반도 24절기 평균 기온은 과거(1919∼1948년)에 비해 최근 10년(1999∼2008년) 사이 영하 0.3∼영상 3.3도 변한 것으로 파악됐다.
1919∼2008년 24절기 중 봄,가을,겨울철 절기의 평균기온과 최고기온,최저기온은 대체로 상승했으며 최고기온보다 최저기온의 상승폭이 컸다.우수(2월19일)부터 대서(7월23일) 사이의 절기는 과거(1919∼1948년)에 비해 최근 10년(1999∼2008년) 동안 평균기온이 0.3∼3.3도 상승했다.실제로 1937∼1966년 대비 1979∼2008년 우수에 눈이 내린 빈도는 7개 관측지점에서 1∼8회 줄었으나 비가 온 빈도는 6∼9회 늘어났다.우수는 눈이 비로 변하고 얼음이 녹아 물이 되는 시기를 뜻한다.
입추(8월8일)부터 대설(12월7일) 사이의 절기 평균기온은 과거보다 최근 0.5∼2.1도 올랐다.소한(1월5일),대한(1월20일), 입춘(2월4일) 절기의 평균기온은 과거에 비해 최근 2.0∼2.8도 상승했다.1919∼2008년 대한의 평균기온은 소한보다 약 0.2도 낮으나,최저기온은 대한보다 소한이 낮았다.기상청 관계자는 “겨울철 절기의 최근 기후특성을 보면 과거 해당 절기에 해당하는 평균기온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여름철(7∼9월 중순)에 해당하는 절기의 평균기온,최고기온,최저기온은 대체로 변화가 뚜렷하지 않았다.지역별로 보면 24절기의 평균기온은 모두 해발고도가 가장 높은 대관령에서 가장 낮았다.입춘(2월4일)에서 곡우(4월20일)의 절기와 입추(8월8일)에서 대한(1월20일)의 사이에 평균기온이 가장 높은 곳은 위도가 가장 낮은 제주도 서귀포였다.입하(5월6일)에서 대서(7월23일) 사이의 절기에는 남부 내륙에 있는 대구의 평균기온이 가장 높았다.
24절기의 평균기온은 대서에 6.5도로 지역 간 차이가 가장 작았으며 그 후로 지역 간의 차가 점차 커져 대한에 14.5도로 가장 큰 차이를 보인 뒤 다시 작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일규 기자 blsck0419@hankyung.com
특정 시기의 기후를 알려주는 24절기의 특성이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여름철 절기의 평균ㆍ최고ㆍ최저기온은 대체로 변화가 없었으나 겨울철 절기는 온도 상승 경향이 뚜렷했다.
11일 기상청이 발간한 ‘기후변화 이해하기 5-입춘에서 대한까지’에 따르면 지난 90년간 한반도 24절기 평균 기온은 과거(1919∼1948년)에 비해 최근 10년(1999∼2008년) 사이 영하 0.3∼영상 3.3도 변한 것으로 파악됐다.
1919∼2008년 24절기 중 봄,가을,겨울철 절기의 평균기온과 최고기온,최저기온은 대체로 상승했으며 최고기온보다 최저기온의 상승폭이 컸다.우수(2월19일)부터 대서(7월23일) 사이의 절기는 과거(1919∼1948년)에 비해 최근 10년(1999∼2008년) 동안 평균기온이 0.3∼3.3도 상승했다.실제로 1937∼1966년 대비 1979∼2008년 우수에 눈이 내린 빈도는 7개 관측지점에서 1∼8회 줄었으나 비가 온 빈도는 6∼9회 늘어났다.우수는 눈이 비로 변하고 얼음이 녹아 물이 되는 시기를 뜻한다.
입추(8월8일)부터 대설(12월7일) 사이의 절기 평균기온은 과거보다 최근 0.5∼2.1도 올랐다.소한(1월5일),대한(1월20일), 입춘(2월4일) 절기의 평균기온은 과거에 비해 최근 2.0∼2.8도 상승했다.1919∼2008년 대한의 평균기온은 소한보다 약 0.2도 낮으나,최저기온은 대한보다 소한이 낮았다.기상청 관계자는 “겨울철 절기의 최근 기후특성을 보면 과거 해당 절기에 해당하는 평균기온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여름철(7∼9월 중순)에 해당하는 절기의 평균기온,최고기온,최저기온은 대체로 변화가 뚜렷하지 않았다.지역별로 보면 24절기의 평균기온은 모두 해발고도가 가장 높은 대관령에서 가장 낮았다.입춘(2월4일)에서 곡우(4월20일)의 절기와 입추(8월8일)에서 대한(1월20일)의 사이에 평균기온이 가장 높은 곳은 위도가 가장 낮은 제주도 서귀포였다.입하(5월6일)에서 대서(7월23일) 사이의 절기에는 남부 내륙에 있는 대구의 평균기온이 가장 높았다.
24절기의 평균기온은 대서에 6.5도로 지역 간 차이가 가장 작았으며 그 후로 지역 간의 차가 점차 커져 대한에 14.5도로 가장 큰 차이를 보인 뒤 다시 작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일규 기자 blsck04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