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닷컴]심혈관 질환을 유발하는 트랜스지방이 비스킷 등 과자류에서 크게 줄었지만 포화지방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지난해 상위 10개 식품업체의 134개 과자류에 대해 트랜스지방 함량을 조사한 결과 1회 제공량(약 30g)당 평균 0.1g으로 2005년 0.8g에 비해 8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또 조사 대상 과자류의 94%가 제품 30g당 0.2g미만을 함유,‘트랜스지방 0g’이라고 표시할 수 있는 기준을 충족했다.다만 피자의 경우 1회 제공량이 상대적으로 많아 트랜스지방 함량도 0.5g으로 다소 높게 나왔다.

반면 포화지방 함량은 높아지고 있다.도넛의 1회 제공량당 포화지방 함량은 2005년 평균 3.3g에서 지난해 7.9g으로 두 배 이상 늘어났다.이는 햄버거(평균 2.1g)의 세 배가 넘고 피자(평균 7.5g)보다도 높은 수치다.일부 제품에서는 도넛 1개에 16.3g의 포화지방이 검출돼 성인의 하루 포화지방 섭취권장량(22g)에 육박했다.과자류와 제빵류의 포화지방은 각각 3.5g,4.8g으로 조사됐다.

식약청 관계자는 “트랜스지방 줄이면서 대체 지방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포화지방 함량이 높아진 것”이라며 “포화지방 저감화 기술개발에 대한 지원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