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통합과 연대를 화두로 당 공천제도 수술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민주당은 13일 국회에서 당 혁신과 통합위원회 주관으로 `시민공천배심원제의 의의와 실행방안' 토론회를 열고 배심원제 도입의 당위성에 대해 설명했다.

혁신과 통합위 위원인 이재명 부대변인은 발제에서 "시민과 전문가로 구성된 배심원단이 후보를 뽑는 배심원제는 당 기득권을 포기하고 공천을 민주화한 것"이라며 "공정성, 개방성 등으로 민주당은 기회의 땅이 됐다"고 밝혔다.

토론회 참석자들도 배심원제 도입에 동의하면서 호남과 수도권 등에서 중점 실시할 것을 요구했다.

민주당의 배심원제 도입은 지방선거를 앞두고 본격화되고 있는 야권 연대와 통합 논의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민주당은 영남 인사 국회의원 비례대표 25% 할당, 지방의원 15% 전략공천 등의 제도도입도 약속한 상태다.

민주당은 14일 전국 지역위원장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연 뒤 이달중 배심원제 도입을 완료할 계획이지만 비주류와 일부 지역위원장들은 `호남 물갈이' 등을 겨냥한 것 아니냐며 반발하고 있다.

비주류 모임인 국민모임 소속의 장세환 의원은 지난 11일 의원총회에서 배심원제에 대해 "당권을 강화하려는 것"이라고 공개 비판했다.

정세균 대표는 토론회 축사에서 "공천과 관련된 지도부의 영향력을 시민에게 돌려주는 것이 당권 강화냐"며 "납득되지 않는 이야기"라고 반박했다.

이런 가운데 국민모임은 14일 토론회를 열고 지도부 교체론 등을 공식 제기할 예정이다.

장 의원은 한 라디오에 출연, "지방선거 승리를 위해서 정 대표가 (대표직 사퇴를 포함한) 어떤 결단을 해야 할 시기가 임박했다"고 강조했다.

또 17일엔 국민참여당의 창당도 예정돼 있어 민주당이 추진하는 야권 통합.연대의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이와 관련, 김민석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에서 "(야권)연합이 성공하려면 제1야당의 중심이 서야 하고 사당(私黨)주의는 비판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동영 의원이 사과 한마디 없이 복당을 밀어붙인 것, 추미애 의원이 당에 책임 전가하는 것, 유시민 전 의원이 명분없이 분열하면서 사실상 사당을 만드는 것 모두 개인을 앞세운 사당주의"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서울연합뉴스) 강병철 기자 solec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