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 가장 역점 둘 분야는 일자리 창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한경, 18대 의원 기업관 조사
긍정평가 불구 정책입안땐 '반기업 정서'에 휘둘려
긍정평가 불구 정책입안땐 '반기업 정서'에 휘둘려
경제위기의 여파가 18대 국회의원들의 기업 인식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 성장 속에서도 일자리는 바닥인 '고용 없는 성장'이 사회적 문제로 부상하면서 의원들은 기업 본연의 역할인 '이윤 창출'보다 사회공헌 등 '공적인 역할'에 무게를 실었다. 기업 정책이 포퓰리즘으로 흐르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는 이유다.
한국경제신문이 지난달 국회의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18대 국회의원 기업 및 경제인식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63.5%가 '기업이 가장 역점을 둘 분야'로 고용창출을 꼽았다. 이명박 정부가 신년연설에서 '일자리 정부'를 내세우고,노동부가 고용노동부로 변신을 꾀하는 등 정부의 최대 고민이 일자리라는 점과 맥을 같이한다. 소비자 만족 증대(12.8%) 이윤 창출(12.2%) 사회공헌(10.9%) 등이 뒤를 이었다.
이는 1년 전 조사에서 '이윤창출'이란 응답이 76.5%로 가장 많았던 것과는 사뭇 다르다. 당시 문항이 '기업이 추구할 목적'이어서 질문의 뉘앙스가 다소 달랐다는 점을 감안해도 적지 않은 변화다. 한나라당 응답자 중 이윤 창출을 꼽은 의원(9.6%)의 비율은 민주당(16.1%)보다도 낮았다.
'기업이 이윤을 내면 어디에 중점적으로 써야 하느냐'는 질문에 48.7%가 '투자를 통한 기업 발전'이라고 응답했다. 2년 전 응답 비율(66.7%)보다 18%포인트 줄어든 수치다. 반면 가격인하 · 품질개선 등 소비자 후생 증대(29.4%) 사회공헌 확대(16.3%)가 크게 늘었다. 기업 본연의 이윤 창출 및 투자활동보다 소비자 후생과 고용 등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는 추세가 그대로 반영된 것이다.
최근 국회가 법인세 인하를 일부 유보하는 등 정부의 감세기조에 브레이크를 건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올해 지방선거를 앞둔 여당이 '부자 정당' 이미지를 버리고 중도노선을 강화하고 있는 것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기업의 지배구조에 대해서는 '기업 특성에 맞는 시스템을 해당기업이 선택해야 한다'(57.3%)는 응답이 과반수였다. 전문경영인 체제를 꼽은 비율은 39.5%였다. '바람직한 지배구조를 가진 기업'으로 한나라당은 포스코(31.7%) 삼성(12.2%) SK(12.2%) 등을,민주당은 포스코(35.7%) LG(16.1%) 한전(7.1%) 등을 꼽았다. 한나라당이 개별 기업의 선택과 글로벌 경쟁력을 우선시한 반면,민주당은 전문 경영인의 역량을 강조했다는 분석이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
한국경제신문이 지난달 국회의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18대 국회의원 기업 및 경제인식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63.5%가 '기업이 가장 역점을 둘 분야'로 고용창출을 꼽았다. 이명박 정부가 신년연설에서 '일자리 정부'를 내세우고,노동부가 고용노동부로 변신을 꾀하는 등 정부의 최대 고민이 일자리라는 점과 맥을 같이한다. 소비자 만족 증대(12.8%) 이윤 창출(12.2%) 사회공헌(10.9%) 등이 뒤를 이었다.
이는 1년 전 조사에서 '이윤창출'이란 응답이 76.5%로 가장 많았던 것과는 사뭇 다르다. 당시 문항이 '기업이 추구할 목적'이어서 질문의 뉘앙스가 다소 달랐다는 점을 감안해도 적지 않은 변화다. 한나라당 응답자 중 이윤 창출을 꼽은 의원(9.6%)의 비율은 민주당(16.1%)보다도 낮았다.
'기업이 이윤을 내면 어디에 중점적으로 써야 하느냐'는 질문에 48.7%가 '투자를 통한 기업 발전'이라고 응답했다. 2년 전 응답 비율(66.7%)보다 18%포인트 줄어든 수치다. 반면 가격인하 · 품질개선 등 소비자 후생 증대(29.4%) 사회공헌 확대(16.3%)가 크게 늘었다. 기업 본연의 이윤 창출 및 투자활동보다 소비자 후생과 고용 등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는 추세가 그대로 반영된 것이다.
최근 국회가 법인세 인하를 일부 유보하는 등 정부의 감세기조에 브레이크를 건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올해 지방선거를 앞둔 여당이 '부자 정당' 이미지를 버리고 중도노선을 강화하고 있는 것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기업의 지배구조에 대해서는 '기업 특성에 맞는 시스템을 해당기업이 선택해야 한다'(57.3%)는 응답이 과반수였다. 전문경영인 체제를 꼽은 비율은 39.5%였다. '바람직한 지배구조를 가진 기업'으로 한나라당은 포스코(31.7%) 삼성(12.2%) SK(12.2%) 등을,민주당은 포스코(35.7%) LG(16.1%) 한전(7.1%) 등을 꼽았다. 한나라당이 개별 기업의 선택과 글로벌 경쟁력을 우선시한 반면,민주당은 전문 경영인의 역량을 강조했다는 분석이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