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제 위기로 구직을 포기하는 사람이 늘면서 '사실상 백수'가 4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됐다.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육아,가사,교육 때문에 일할 수 있어도 일하지 않는 비경제활동인구는 1570만명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통계청은 17일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공식 실업자 88만9000명에다 넓은 의미의 실업자로 분류되는 주당 18시간 미만 취업자(96만3000명),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준비자(59만1000명),특별한 이유 없이 그냥 쉬는 사람(147만5000명),구직을 포기한 사람(16만2000명)을 모두 합하면 408만명에 달했다고 밝혔다. 15세 이상 인구가 4031만명인 점을 감안하면 경제활동이 가능한 인구 10명 중 1명은 사실상 백수인 셈이다.

사실상 백수가 400만명을 넘은 것은 관련 세부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3년 이래 처음이며 1998년 외환 위기 이후로도 최대인 것으로 파악된다. 사실상 백수는 2003년 280만8000명을 기록했다가 2004년 310만9000명으로 300만명 선을 돌파하더니 2005년 351만1000명,2006년 357만2000명,2007년 359만3000명,2008년 368만8000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경제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비경제활동인구도 지난해 1569만8000명으로 역대 최대였다. 여자가 1042만명으로 남자 527만8000명의 2배 가까이 달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만 15세가 넘은 인구 중 일할 수 있는 능력은 있으나 일할 의사가 없어 경제활동을 포기한 인구로 육아 · 가사를 전담하고 있는 주부,취업 준비 중인 학생,휴 · 폐업한 자영업자 등이 포함된다.

정종태 기자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