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신문과 현대경제연구원이 2007년 하반기 이후 매년 두 차례씩 실시해온 이 조사결과 지난해 12월 기준의 경제행복지수는 42.5로 2009년 상반기보다 3.9포인트 올라갔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극복되는 모습을 보이면서 앞으로 경제에 대한 낙관과 자신감을 가진 국민들이 그만큼 늘어난 것이라는 점에서 일단 고무적이다. 이 지수는 특히 개인들이 경제적 요인과 관련해 느끼는 만족의 정도를 경제적 안정과 우위감,경제적 발전과 평등,불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요소를 바탕으로 산출했다는 점에서 국민들의 경제행복도를 평가하는 지표로서 그 의미가 적지 않다.
하지만 행복지수가 소폭 올랐음에도 절대치가 100(행복하다) 기준에서 40점대 초반으로 나타난 점을 주목해야 한다. 경제적 행복도에서 보통(50) 이하라는 응답자가 더 많은 까닭이다. 무엇보다 실물경제의 지표가 개선되는 와중에도 경기회복을 피부로 느끼지 못한다는 국민이 87%에 달했다. 체감경기가 여전히 한겨울로 받아들여지는 주된 이유는 일자리 부족(32%),임금소득 감소(25%),가계빚 증가(23%) 등이었다. 그간 지속적으로 지적돼온 당면 현안들의 절박함이 행복도 조사로 거듭 확인된 셈이다. 소득과 자산이 적은 취약계층의 행복지수가 상대적으로 많이 낮다는 점도 정책적으로 꾸준히 개선해야 할 숙제임이 분명하다.
이번 조사에서도 드러났듯이 우리 경제가 저성장 국면에 본격 진입했다는 것은 부인하기 어려운 사실이다. 반면 국민들의 행복도를 떨어뜨리는 경제과제들은 어느 것 하나 쉽게 풀리기가 어려운 것들이다. 이 점 고민이 아닐 수 없다. 경제적 행복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400만명을 넘어선 사실상의 실업자를 감안한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도록 투자확대 여건을 더 다듬고,올해 출구전략이 본격 모색되더라도 가계의 부채상환 능력이 악화되지 않게끔 하는 대책도 미리미리 준비해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