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년 만에 약대 신설을 허용키로 하면서 대학들도 뜨거운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다. 상당수 대학들은 학교 소재 지방자치단체와 공동으로 유치전에 나섰다.

입학생 전원 장학금 제공이란 파격적 조건을 내걸거나 약대 건물 공사부터 시작하는 대학도 나타나는 등 과열 경쟁 조짐도 보인다. 이에 따라 대학 간 줄소송이 이어졌던 로스쿨 사태가 다시 발생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투자금액 최대 1200억

2011학년도 약대 증원 규모는 총 490명으로 지역별로 이미 할당된 상태다. 약대 설립을 신청한 대학은 전국 33개 대학으로 차의과대 등 경기 9곳,경북대 등 대구 3곳,가천의과학대 등 인천 4곳,단국대 등 충남 8곳,초당대 등 전남 5곳,인제대 등 경남 4곳 등이다. 약학과 유지에 최소 30명 이상이 필요한 점에 비춰 신청 대학 중 절반 이상은 탈락해야 한다.

각 대학은 약대 설립을 위해 최소 300억원 이상의 자금을 조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계명대 1200억원,순천대 500억원,목포대 400억원,초당대 300억원 등이다. 이들 대학 중 일부는 이 기금을 활용해 이미 약대생들의 교수 · 학습을 위한 건물 설립에 나섰다. 한려대는 전용 도서관을 갖춘 8층짜리 약대 건물을 완공했다. 순천대는 오는 8월 완공을 목표로 지난해 9월 70억원을 들여 지하 1층 · 지상 5층,연면적 6327㎡ 규모의 약학관 공사를 시작했다. 계명대는 약용식물원으로 활용할 경북 칠곡군 소재 200억원대 토지를 확보했다.

지자체도 지역 대학의 약대 유치에 발벗고 나섰다. 목포대는 최근 목포시 및 전남대병원,목포시의료원 등과 협력 협정을 체결했다. 인제대-김해시,동국대-고양시 등도 협정을 맺고 약대 유치를 위해 뛰고 있다.

◆사활 건 경쟁 왜?

각 대학이 사활을 걸고 약대 신설을 추진하는 이유는 유치 때 얻을 수 있는 이익이 크기 때문이다. 약대는 정부 연구비를 따내는 데 큰 몫을 차지한다. 지난해 교육과학기술부가 주관하는 원천기술개발사업의 신약개발 부문에만 280억원이 투자됐다. 정부 연구비 1조1000여억원 등 작년에 1조6000억원이 투입된 BK21 사업에는 서울대 약대 등 전국 13개 기존 약대가 대거 참여하고 있다.

연구를 수주하면 연구 활동을 활발하게 벌여 학교 위상도 높일 수 있다. 지난해 서울대 논문 발표 통계에 따르면 약대가 교수 1인당 6.16건으로 서울대 전체에서 가장 높았다. 서울대 약대는 총 168억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지난해 교수 1인당 4억2000만원(2008년 3억4000만원)을 연구비에 사용했다. 전체 단과대 중 가장 많은 액수다.

우수 인력 확보에 도움이 된다는 계산도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제2로스쿨 사태 가능성도

과열된 경쟁으로 제2의 로스쿨 사태를 불러올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건물을 짓고 교수까지 뽑아 놨는데 탈락하면 후유증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점에서다. 실제 2008년 로스쿨 설치 인가를 받지 못한 조선대,동국대,홍익대 등이 지난해 줄줄이 소송을 내 교육당국이 곤욕을 치렀다.

교과부 대학지원과 관계자는 "약학 전공 위원 8명으로 구성되는 심사위원 선정에 최대한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교과부는 1월 말께 심사위원 구성을 마친 뒤 당초 일정보다 늦어진 2월 말께 최종 설립 인가 대학을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김일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