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中 긴축정책, 열쇠는 '경제성장률과 물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에서 또 한차례 한파가 몰아닥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이 큰 충격을 받았다. 전문가들은 21일 발표되는 중국의 경기지표 결과에 따라 중국 정부의 긴축정책 방향을 가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지난 19일 국채금리를 2주 연속 인상했고, 20일에는 류밍캉 중국 은행감독위원회가 주석이 올해 신규대출을 제한할 것을 시사했다.
지난 12일 인민은행이 지급준비율을 인상한 데 이어, 잇따른 중국 정부의 '자금줄 죄기'에 본격적인 긴축 정책이 실시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과 영국 증시가 이 같은 소식에 1% 이상 급락했고, 독일과 프랑스 증시는 2% 이상 떨어지는 등 글로벌 증시가 휘청였다.
최석원 하이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중국의 긴축 이슈는 향후 지속적으로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부동산 시장이 과열양상을 보이고 있고, 수출이 회복되면서 경기에 대한 속도 조절을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국내 증시는 생각보다 강한 회복력을 보이면서 장중 낙폭을 만회하고 있다.
21일 코스피 지수는 개장 초 중국 악재에 1700선을 하회하기도 했으나, 낙폭을 줄이며 오전 10시29분 현재 1710선 부근에서 등락하고 있다.
특히 지수선물시장에서도 외국인이 장 초반부터 순매수를 하며 선물지수 상승을 이끌고 있어 이번 이슈가 큰 변동성 요인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도 가능하다.
심재엽 메리츠증권 애널리스트는 "미국이나 유럽은 아직 경기가 회복되지 않은 나라여서 중국 경제정책의 영향을 많이 받지만 한국은 중국과 성장을 함께 하며 지난해 내내 회복세를 걸어왔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악영향을 덜 받는다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재만 동양종금증권 애널리스트는 "중국의 긴축 이슈는 경기가 정상화되는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당연한 수순이라고 보인다"면서 "단기적으로는 유동성 우려에 시장이 충격을 받을 수도 있겠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에는 경기 회복이라는 점에서 큰 충격을 주지는 못할 것"이라고 풀이했다.
신규대출 억제는 이미 지난해 말부터 꾸준히 제기됐던 문제로 예상했던 이슈라는 판단도 우세하다.
그것보다 주목해야 할 것은 이날 발표될 중국의 주요 경기지표들이다.
이날 중국은 4분기 GDP(국내총생산) 성장률과 산업생산, 고정자산투자, 소비, 물가 등 주요 경제지표를 발표할 예정이다.
중국의 4분기 GDP 성장률은 10.5~11.1%로 두자릿수 성장이 전망되고 있으며, 12월 소비자물가지수 역시 1.5~1.8%, 높게는 2%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박매화 한화증권 애널리스트는 "4분기 중국 GDP성장률은 11%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되고 이미 발표된 수출입과 FDI등 지표로 판단할 때 고정자산 투자와 산업생산도 예상보다 높게 나올 가능성이크다"고 전망했다.
이번 대출규제 발표는 두자릿수 성장률에 따른 경기과열 억제를 위한 조치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조용찬 한화증권 중국EM분석팀장은 "지난해 4분기와 올해 1분기 GDP 성장률이 두자릿수를 기록하면서 12%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성장률이 11%를 넘어서면 중국 정부가 본격적인 수요억제책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고 전했다.
당초 2분기와 3분기 중으로 예상됐던 기준금리 인상이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에 따라 빠르면 1분기로도 앞당겨질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조 팀장은 "현재 중국의 시중 실수요금리가 1.2%대인데 물가상승률이 이보다 높으면 실질적으로 마이너스가 되는 것"이라며 "물가상승률에 따라 구정 이후에 금리인상을 단행할 가능성도 제기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최석원 하이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물가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경우 경기의 회복기조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긴축정책이 시행될 것"이라면서 "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통화정책의 최우선 순위는 경기보다는 물가가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한경닷컴 김다운 기자 kdw@hankyung.com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지난 19일 국채금리를 2주 연속 인상했고, 20일에는 류밍캉 중국 은행감독위원회가 주석이 올해 신규대출을 제한할 것을 시사했다.
지난 12일 인민은행이 지급준비율을 인상한 데 이어, 잇따른 중국 정부의 '자금줄 죄기'에 본격적인 긴축 정책이 실시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과 영국 증시가 이 같은 소식에 1% 이상 급락했고, 독일과 프랑스 증시는 2% 이상 떨어지는 등 글로벌 증시가 휘청였다.
최석원 하이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중국의 긴축 이슈는 향후 지속적으로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부동산 시장이 과열양상을 보이고 있고, 수출이 회복되면서 경기에 대한 속도 조절을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국내 증시는 생각보다 강한 회복력을 보이면서 장중 낙폭을 만회하고 있다.
21일 코스피 지수는 개장 초 중국 악재에 1700선을 하회하기도 했으나, 낙폭을 줄이며 오전 10시29분 현재 1710선 부근에서 등락하고 있다.
특히 지수선물시장에서도 외국인이 장 초반부터 순매수를 하며 선물지수 상승을 이끌고 있어 이번 이슈가 큰 변동성 요인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도 가능하다.
심재엽 메리츠증권 애널리스트는 "미국이나 유럽은 아직 경기가 회복되지 않은 나라여서 중국 경제정책의 영향을 많이 받지만 한국은 중국과 성장을 함께 하며 지난해 내내 회복세를 걸어왔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악영향을 덜 받는다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재만 동양종금증권 애널리스트는 "중국의 긴축 이슈는 경기가 정상화되는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당연한 수순이라고 보인다"면서 "단기적으로는 유동성 우려에 시장이 충격을 받을 수도 있겠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에는 경기 회복이라는 점에서 큰 충격을 주지는 못할 것"이라고 풀이했다.
신규대출 억제는 이미 지난해 말부터 꾸준히 제기됐던 문제로 예상했던 이슈라는 판단도 우세하다.
그것보다 주목해야 할 것은 이날 발표될 중국의 주요 경기지표들이다.
이날 중국은 4분기 GDP(국내총생산) 성장률과 산업생산, 고정자산투자, 소비, 물가 등 주요 경제지표를 발표할 예정이다.
중국의 4분기 GDP 성장률은 10.5~11.1%로 두자릿수 성장이 전망되고 있으며, 12월 소비자물가지수 역시 1.5~1.8%, 높게는 2%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박매화 한화증권 애널리스트는 "4분기 중국 GDP성장률은 11%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되고 이미 발표된 수출입과 FDI등 지표로 판단할 때 고정자산 투자와 산업생산도 예상보다 높게 나올 가능성이크다"고 전망했다.
이번 대출규제 발표는 두자릿수 성장률에 따른 경기과열 억제를 위한 조치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조용찬 한화증권 중국EM분석팀장은 "지난해 4분기와 올해 1분기 GDP 성장률이 두자릿수를 기록하면서 12%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성장률이 11%를 넘어서면 중국 정부가 본격적인 수요억제책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고 전했다.
당초 2분기와 3분기 중으로 예상됐던 기준금리 인상이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에 따라 빠르면 1분기로도 앞당겨질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조 팀장은 "현재 중국의 시중 실수요금리가 1.2%대인데 물가상승률이 이보다 높으면 실질적으로 마이너스가 되는 것"이라며 "물가상승률에 따라 구정 이후에 금리인상을 단행할 가능성도 제기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최석원 하이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물가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경우 경기의 회복기조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긴축정책이 시행될 것"이라면서 "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통화정책의 최우선 순위는 경기보다는 물가가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한경닷컴 김다운 기자 k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