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리브해의 슬픈 영가] 사탕수수밭 흑인노예 후손의 눈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아직도 못벗은'가난 굴레'
식민지 시대 아프리카서 끌려와
스페인·프랑스 등 수탈 시달려
식민지 시대 아프리카서 끌려와
스페인·프랑스 등 수탈 시달려
'카리브해'는 보통 남국의 정열과 야자수,레게 음악 등 낭만적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는 단어다. 하지만 카리브해의 역사는 눈물과 고통으로 점철된 수난사다. 대지진으로 아비규환의 생지옥이 된 아이티는 카리브해에 있는 이스파뇰라섬의 서쪽 3분의 1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19세기 영국작가 스티븐슨의 소설 '보물섬'의 주인공들이 해적이 숨겨 놓은 보물을 찾아 카리브해로 떠날 때 탄 배의 이름이 '이스파뇰라'호였고,황금을 찾아 1492년 아메리카 대륙에 상륙한 콜럼버스가 최초의 대규모 거주지를 건설한 섬도 이스파뇰라였을 정도로 풍요의 이미지가 덧칠됐지만 실상 이 섬은 가장 참혹한 식민수탈의 역사가 자행된 곳이었다.
서구 식민제국 역사에서 원주민의 씨가 마르고 아프리카에서 대규모 흑인 노예들이 수입돼 극한의 고통 속에 끝없는 눈물을 흘린 곳이 바로 이스파뇰라섬(아이티,도미니카공화국)과 자메이카와 쿠바 등 카리브해 도서들이었던 것이다.
◆흑인 노예의 눈물로 시작된 끝없는 비극
아이티 대지진 참사 직후 아프리카 압둘라예 웨이드 세네갈 대통령은 "아이티 이재민에게 무상으로 땅을 주겠다"며 "자신의 뿌리를 찾아오겠다면 제한없이 환영한다"고 밝혔다. 아이티 이재민들의 조상이 자신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이스파뇰라섬으로 끌려갔던 만큼 조상들의 땅으로 귀국하겠다는 권리를 인정하겠다는 게 세네갈 정부의 설명이었다.
이런 발언의 연원은 유럽의 식민지배와 노예제 플랜테이션의 역사로 거슬러 올라간다. 15세기 말 콜럼버스가 이스파뇰라 섬에 왔을 당시에는 '타이노'족이라는 원주민이 살고 있었다. 하지만 스페인 식민지배자들의 가혹한 노동을 견뎌내지 못하고 원주민은 거의 멸종되다시피 했다. 당시 스페인 식민지배의 잔혹상을 전한 라스카사스 신부의 증언을 보면 "스페인인들은 원주민을 어린이,임산부 가릴 것 없이 도살장에서 양을 잡는 것처럼 갈가리 찢거나 산 채로 태워버렸다"고 전하고 있다.
부족한 노동력을 보충하기 위해 아프리카 흑인들이 노예로 수입됐고 이들은 오늘날 카리브해 도서에 널리 퍼진 물라토(흑인과 백인 간 혼혈)의 선조가 됐다.
특히 16세기 유럽에서 설탕수요가 늘면서 노예제 플랜테이션이 브라질을 시작으로 카리브해 곳곳으로 퍼져갔다.
당시 폭염 속에서 사탕수수를 꺾어 으깬 뒤 즙을 오랜 시간 끓여야 하는 설탕제조 과정은 매우 고통스러웠을 뿐 아니라 즙을 끓이기 위해 수많은 나무를 벌목해야 했던 만큼 노예제 노동을 통해서만 유지되던 상황이었다. 주로 콩고 기니 세네갈 등 아프리카 서부에서 노예들이 공급됐다.
이후 카리브해의 지정학적 요충지 아이티는 자연스레 해상무역 중심지로 부각됐고, 섬 서부지역에 프랑스인의 정착과 투자가 늘면서 1697년 프랑스와 스페인은 아이티가 위치한 이스파뇰라 섬을 프랑스령 서부(현 아이티)와 스페인령 동부(현 도미니카 공화국)로 분할했다.
18세기 말 대서양 연안에서 거래된 흑인노예의 3분의 1(매년 최대 4만명)이 아이티로 보내졌고 아이티 농장에서 일하는 흑인노예의 수만 80만명에 이르기도 했다.
200년간 영국의 식민지였던 자메이카의 경우도 비슷한 발전경로를 거쳐 17세기 흑인 노예인구가 폭증했고,노예노동에 의존하는 대표적인 설탕수출 국가로 자리잡았다. 노예의 쓰디쓴 눈물을 바탕으로 1820년에서 1824년 사이 연간 7만7000t의 설탕이 생산됐고,1807년 영국에서 노예제가 불법이 되자 인도와 중국의 값싼 노동력이 수입돼 흑인노예를 대체하기도 했다.
400년간의 직접지배와 영국의 간섭을 받은 쿠바 역시 아프리카 노예의 플랜테이션 농업을 통해 설탕과 커피,담배 생산에 주력하는 등 카리브해 연안 도서국가들은 모두 사탕수수밭 속에서 노예의 눈물로 역사를 일궜다. 크레올(이주 프랑스계백인과 흑인의 혼혈아)흑인영가에는 그들의 '아픈 역사'가 묻어 있다.
◆여전한 가난의 굴레
노예의 눈물로 세워진 카리브해 연안 국가들은 한결같이 경제난으로 신음하고 있다. 독립 후에도 프랑스와 스페인 영국 등 열강의 침탈과 32차례의 내부 쿠데타에 시달려온 아이티는 1994년까지 국제사회의 대대적인 징벌적 엠바고가 발동됐고,이로 인해 허약했던 아이티 경제는 사실상 사형선고를 받았다.
쿠바경제도 상황이 암울하기는 마찬가지다. 카스트로의 사회주의 혁명 후 미국의 금수조치가 지속되고 사회주의 몰락으로 대외원조까지 끊기면서 경제는 나락으로 몰렸다. 식량난을 타개하기 위해 일반 가정의 지붕마다 옥수수 등 작물을 심는 '쿠바판 녹색혁명'이 진행 중이지만 노예들이 사탕수수를 재배할 때보다 상황은 별반 나아지지 않았다. 자메이카 역시 1980년대 들어 1972년보다 경제규모가 25%나 위축됐고,결국 국제통화기금(IMF)에 손을 벌리는 처지가 됐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