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기존 전력망에 정보기술(IT)을 접목한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 지능형 전력망) 산업을 미래 수출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민 · 관 합동으로 총 27조5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연평균 5만개의 일자리와 74조원(누적치)의 내수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25일 오전 10시 서울 삼성동 한국전력 본사에서 '스마트그리드 국가 로드맵 총괄위원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국가 로드맵을 확정했다고 발표했다.

로드맵은 '저탄소 녹색성장 기반 조성'을 비전으로 설정했다. 시범도시 광역시 · 도 등에 먼저 거점을 구축한 뒤 확산하는 '선(先)거점 구축,후(後) 확산 전략'을 통해 2030년까지 국가 단위의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이 기간 중 투입할 총 27조5000억원의 금액 가운데 정부 분담액은 2조7000억원으로 정해졌다. 정부는 이 돈으로 초기 핵심기술 개발과 신제품 시장 창출,공공 인프라 구축 등을 지원한 뒤 기술개발 및 시장의 성숙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지원을 줄여 나간다는 방침이다.

나머지 24조8000억원은 향후 시장 확대에 따른 민간의 자발적 투자를 통해 채워질 것이라는 게 정부 측 설명이다. 지경부는 민간 투자를 촉진시키기 위해 지능형 전력망,소비자,수송,신재생에너지,서비스 등 5대 분야에 대한 단계별 기술개발 및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고 스마트그리드를 수출전략 산업으로 육성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2011년 시범도시에 전기차 충전소 200곳을 시작으로 2030년까지 2만7000곳을 세울 계획이며 가칭 '지능형 전력망 구축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도 연내 제정하기로 했다. 지경부 관계자는 "스마트그리드가 원자력 발전과 같은 수출전략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민 · 관 합동 수출지원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스마트그리드가 성공적으로 구축되는 2030년이면 총 2억3000만t(누적치)의 온실가스가 감축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에너지 이용 효율 향상에 따라 47조원의 에너지 수입 비용(누적치)과 3조2000억원의 발전소 투자비용도 절감될 것으로 내다봤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