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들이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떠오르고 있는 'ISO 26000'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ISO 26000은 국제표준화기구가 만든 국제 기준으로 환경,인권,노동 등에 관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포괄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와 지속가능경영원은 국내 매출액 100대 기업을 상대로 ISO 26000을 주제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구체적인 대응전략을 갖추고 있다'고 답한 기업이 4.9%에 불과했다고 26일 발표했다.

절반 이상의 기업들은 ISO 26000 이슈에 대한 대응전략이 없다고 대답했다. '대응하지 않고 경쟁 기업의 동향만 파악하고 있다'와 '거의 대응하지 않고 있다'는 응답이 각각 36.1%와 21.3%였다.

ISO 26000 대응 수준이 낮은 이유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추진 방법을 몰라서'라는 답이 27.8%로 가장 많았다. '경영층의 관심이 적어서'(16.7%),'시간과 예산이 부족해서'(16.7%),'ISO 26000의 효과에 의문이 들어서'(5.6%),'관심이 부족해서'(5.6%) 등의 답변도 나왔다.

이 기준에 대한 이해 수준도 대체로 낮았다. '대부분 이해한다'는 기업은 19.7%에 불과했다. '약간 알고 있다'는 답이 57.4%로 가장 많았다.

ISO 26000이 기업 사회공헌 활동 활성화의 계기가 될 것이라는 점에는 응답 기업 대부분이 동의했다. '사회공헌 활동이 확산될 것'이라는 답이 59%로 '별로 효과가 없을 것(8.2%)'의 7배가 넘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ISO 26000을 요구하는 국가나 기업이 늘어나면 원만한 노사관계,환경 보호,지역사회에 대한 공헌 등에 무심한 기업들의 경영이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국제표준화기구는 최근 ISO 26000 표준안을 150여개 회원국에 전달했다. 오는 4월 코펜하겐에서 열리는 총회를 거쳐 8월까지 최종 투표를 진행한다. 발효 시기는 연말께가 될 전망이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