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량진 민자역사 사업 7년만에 '올스톱'
서울 동작구 '노량진 민자역사 프로젝트'가 사업 착수 7년 만에 전면 중단됐다. 2003년 시행자로 선정됐던 노량진역사㈜가 이달 초 코레일로부터 계약파기 통보를 받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노량진역사 측은 코레일의 이번 조치에 반발,법적 대응 방침을 밝히고 기존 홍보관에서 분양 영업을 계속하고 있어 파장이 예상된다. 양측 간 갈등이 장기화될 경우 수천만~수억원을 투자해서 점포를 계약한 투자자들의 피해는 눈덩이처럼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27일 코레일과 노량진역사㈜에 따르면 최근 코레일이 노량진역사㈜ 측에 사업 주관권리를 취소하고,회사의 해산 및 청산 절차에 들어가 줄 것을 요청했다.

코레일 관계자는 "2003년 사업자 선정 당시 체결한 협약서에는 건물 착공 이전에 상가를 선분양하는 행위 자체가 명백한 계약 위반인 데도,시행사 측은 많은 투자자들에게 민자역사 내 점포를 이중,삼중으로 겹치기 분양을 해왔다"며 "이로인해 민원이 속출하는 등 시행업체를 더 이상 신뢰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코레일은 조만간 사업자를 재선정하는 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이에 노량진역사 측은 "이중 · 삼중의 선분양 의혹은 이미 검찰(수원지검)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은 사안"이라며 "혹시 선분양이 있었다해도 코레일 출신 등기 이사가 현장에 파견돼 근무해왔었던 만큼,코레일 측에서도 이들 사실을 모두 알고 있었던 상황인 데다 창동 · 왕십리 등의 기존 민자역사 사업에서도 관행처럼 이뤄져왔던 일"이라고 해명했다.

시공사 선정 과정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상가분양업계의 한 관계자는 "노량진역사의 경우 첫 시공사로 선정됐던 J개발의 시공능력 부족 사실이 뒤늦게 밝혀지면서 착공이 크게 지연됐다"며 "이후 새로 교체된 Y개발 역시 소형 건설업체여서 개발자금 파이낸싱에 어려움이 있어 착공이 미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이 같은 공사 지연에도 불구하고 시행사 측이 점포 분양을 계속하는 바람에 피해 규모가 눈덩이처럼 커졌다"고 지적했다.

시행사와 코레일 측의 갈등이 심화되면서 100여명의 점포 계약자들은 큰 혼란에 빠졌다. 현재 상가에 물린 투자자들의 자금은 각각 8000만~5억원 선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 총액으로 따지면 적게는 80억원,많게는 500억원에 달할 것이란 게 건설업계의 예측이다. 이 때문에 시행사가 현재 자금난을 풀지 못하면 '제2의 굿모닝시티'사태가 될 수도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특히 투자자들의 경우 계약금,중도금은 물론 시행사가 책정한 홍보비(상가개발 이후 상가관리비용)까지 고스란히 지불한 상태여서 더욱 황당해하고 있다. 이들은 사업 중단 소식이 알려진 이후 별도 모임을 만들어 법률자문을 받는 등 집단 대응 방안을 검토 중이다. 계약자 모임 관계자인 김모씨는 "투자자들의 입장은 당장 투자 자금을 돌려달라는 것"이라며 "시행사인 노량진역사는 물론 시행사에 대한 관리 · 감독 의무를 다하지 않은 코레일 측에도 책임을 물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호기/이승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