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지몰린 가이트너 "AIG에 압력 넣은 적 없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하원 청문회서 '혼쭐'
편법 구제금융 의혹 부인
편법 구제금융 의혹 부인
월가 금융 개혁을 둘러싸고 폴 볼커 백악관 경제회생자문위원회(ERAB) 의장에게 주도권을 빼앗긴 티모시 가이트너 미국 재무장관(사진)이 27일 의회의 AIG 청문회에 나와 곤욕을 치렀다.
가이트너 장관은 이날 하원의 감독 및 정부개혁위원회 청문회에 출석,"월가 금융사와의 거래 내용을 공개하지 말 것을 요구하는 결정에 개입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이메일을 보낸 것은 사실이지만 자신은 거래 내역 공개와 관련한 압력을 행사한 적이 없다는 것이다. 특히 2008년 11월 재무장관에 지명된 이후 통화정책과 뉴욕연방은행 관련 업무를 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의원들은 가이트너 장관이 뉴욕연방은행 총재 재임 시절 주도적으로 AIG 구제금융 결정에 관여했다며 맹비난했다. 정부개혁위원회 위원장인 에돌푸스 타운스 민주당 의원(뉴욕주)은 "정부의 AIG 구제금융은 납세자들의 희생을 대가로 월가의 대형 금융사들에 621억달러의 막대한 자금을 편법으로 준 것"이라고 비판했다. 대럴 아이서 공화당 의원(캘리포니아주)은 "뉴욕연방은행이 AIG에 구제금융을 지원한 뒤 (골드만삭스 등) 논란이 될 수 있는 거래 은행들과의 거래 정보를 공개하지 못하도록 압력을 넣었다"고 지적했다.
의원들의 호된 질책이 이어지자 가이트너 장관은 "구제금융을 받은 은행들에 수수료를 부과함으로써 AIG를 포함한 금융사로부터 구제금융을 모두 회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은행의 규모와 영업 범위를 제한하는 '볼커 룰'을 지지한다는 입장도 밝혔다.
한편 이날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한 헨리 폴슨 전 재무장관은 "AIG 구제금융 결정이 이뤄지지 않았다면 금융 시스템이 망가져 미국의 실업률이 대공황 수준인 25%까지 치솟았을 것"이라며 AIG에 대한 구제금융 결정의 정당성을 주장했다.
뉴욕=이익원 특파원 iklee@hankyung.com
가이트너 장관은 이날 하원의 감독 및 정부개혁위원회 청문회에 출석,"월가 금융사와의 거래 내용을 공개하지 말 것을 요구하는 결정에 개입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이메일을 보낸 것은 사실이지만 자신은 거래 내역 공개와 관련한 압력을 행사한 적이 없다는 것이다. 특히 2008년 11월 재무장관에 지명된 이후 통화정책과 뉴욕연방은행 관련 업무를 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의원들은 가이트너 장관이 뉴욕연방은행 총재 재임 시절 주도적으로 AIG 구제금융 결정에 관여했다며 맹비난했다. 정부개혁위원회 위원장인 에돌푸스 타운스 민주당 의원(뉴욕주)은 "정부의 AIG 구제금융은 납세자들의 희생을 대가로 월가의 대형 금융사들에 621억달러의 막대한 자금을 편법으로 준 것"이라고 비판했다. 대럴 아이서 공화당 의원(캘리포니아주)은 "뉴욕연방은행이 AIG에 구제금융을 지원한 뒤 (골드만삭스 등) 논란이 될 수 있는 거래 은행들과의 거래 정보를 공개하지 못하도록 압력을 넣었다"고 지적했다.
의원들의 호된 질책이 이어지자 가이트너 장관은 "구제금융을 받은 은행들에 수수료를 부과함으로써 AIG를 포함한 금융사로부터 구제금융을 모두 회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은행의 규모와 영업 범위를 제한하는 '볼커 룰'을 지지한다는 입장도 밝혔다.
한편 이날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한 헨리 폴슨 전 재무장관은 "AIG 구제금융 결정이 이뤄지지 않았다면 금융 시스템이 망가져 미국의 실업률이 대공황 수준인 25%까지 치솟았을 것"이라며 AIG에 대한 구제금융 결정의 정당성을 주장했다.
뉴욕=이익원 특파원 ik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