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산업 채권단이 워크아웃 절차를 밟고 있는 금호산업에 대한 2800억원의 자금 지원에 조건부 동의를 결의했다. 다만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명예회장과 박찬구 전 화학부문 회장 등이 보유한 주식을 담보로 제공한다는 전제 조건이 이행되지 않고 있어 자금 지원이 이뤄질지는 아직 유동적이다.

우리은행은 금호산업에 대한 2800억원 규모의 자금 지원에 대한 서면 동의서를 집계한 결과 결의 요건인 75% 이상의 동의를 얻었다고 4일 밝혔다. 각 금융회사가 보유한 채권 비율에 따라 지원 금액이 책정됐으며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이 700억원을,산업은행이 660억원가량을 부담하기로 했다.

채권단 관계자는 "자금 지원을 위한 채권단 승인 절차를 미리 밟은 것"이라며 "박삼구,박찬구 회장 일가의 계열사 보유 주식에 대한 담보 제공 동의서와 의결권 위임 각서가 제시돼야 실제 자금이 집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진동수 금융위원장도 "그룹 오너의 사재 출연이 전제돼야 금호산업과 금호타이어를 지원할 수 있다"며 채권단 입장을 재확인했다.

반면 박찬구 전 회장 측은 동의서 제출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고,고(故) 박정구 회장의 장남 박철완 부장도 같은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박 전 회장 측은 금호의 유동성 위기에 대한 법적 책임이 없으며 회사 경영에도 배제돼 동의서를 제출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삼구 명예회장 측도 "시간이 좀 더 필요하다"며 아직 동의서를 제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호타이어도 오는 9일 1000억원의 긴급 자금 지원을 위한 채권단 결의가 예정돼 있지만 오너 사재 출연 외 비용 절감을 위한 구조조정 방안에 노조가 동의하지 않고 있어 어려움이 예상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늦어도 내주 말까지는 자금 지원이 이뤄져야 금호산업 협력업체의 진성어음을 결제하고 금호산업도 부도를 피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심기/장창민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