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빅뱅] (1) 가닥 잡힌 우리금융 민영화‥우리금융 매각 우여곡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01년 "4년내 꼭 민영화"
2005년 "기간 3년 더 연장"
2008년 "시한 아예 없애"
2005년 "기간 3년 더 연장"
2008년 "시한 아예 없애"
정부는 2001년 3월 우리금융그룹을 출범시키면서 "4년 내에 반드시 민영화하겠다"고 약속했다. 금융지주회사법에 '4년 내 매각'을 의무조항으로 넣어놓기까지 했다.
그러나 2005년 3월이 되자 매각시한을 3년간 연장했고, 2008년 3월엔 매각시한을 아예 없애버렸다. 그러는 사이 우리금융 민영화는 기약 없이 표류했다.
현재 정부 지분율은 증권거래소 상장과 세 차례 소수지분 매각,증자 등을 거치면서 65.97%로 떨어져 있다. 2002년 6월 상장하면서 11.8%를 처분했고 이후 블록세일을 통해 지분을 줄였다. 이 과정에서 정부가 회수한 공적자금은 배당금(9708억원)을 포함해 4조881억원이다. 투입원금 12조7663억원의 32% 수준이다.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이후 정부는 우리금융을 최대한 빨리 민영화하겠다고 공언하고 나섰다. 금융위기 여파로 국제금융 시장 여건이 좋지 않았던 지난해 11월 블록세일을 강행한 것도 민영화 의지를 확인시키기 위한 조치였다고 정부 측은 설명했다.
정부 계획은 65.97% 가운데 지배지분(50%+1주)을 제외한 15.97%를 블록세일 등을 통해 먼저 매각하고 지배지분도 가급적 연내에 처리하겠다는 것이다. 15.97%를 한 번에 매각하기가 어렵다는 점을 감안할 때 블록세일은 두 번 이상 해야 할 것으로 금융계는 보고 있다.
우리금융 경영진은 블록세일을 한 차례로 끝내기 위해 지분 6~7%를 자사주 형태로 매입하겠다고 당국에 건의한 바 있다.
김인식 기자 sskiss@hankyung.com
그러나 2005년 3월이 되자 매각시한을 3년간 연장했고, 2008년 3월엔 매각시한을 아예 없애버렸다. 그러는 사이 우리금융 민영화는 기약 없이 표류했다.
현재 정부 지분율은 증권거래소 상장과 세 차례 소수지분 매각,증자 등을 거치면서 65.97%로 떨어져 있다. 2002년 6월 상장하면서 11.8%를 처분했고 이후 블록세일을 통해 지분을 줄였다. 이 과정에서 정부가 회수한 공적자금은 배당금(9708억원)을 포함해 4조881억원이다. 투입원금 12조7663억원의 32% 수준이다.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이후 정부는 우리금융을 최대한 빨리 민영화하겠다고 공언하고 나섰다. 금융위기 여파로 국제금융 시장 여건이 좋지 않았던 지난해 11월 블록세일을 강행한 것도 민영화 의지를 확인시키기 위한 조치였다고 정부 측은 설명했다.
정부 계획은 65.97% 가운데 지배지분(50%+1주)을 제외한 15.97%를 블록세일 등을 통해 먼저 매각하고 지배지분도 가급적 연내에 처리하겠다는 것이다. 15.97%를 한 번에 매각하기가 어렵다는 점을 감안할 때 블록세일은 두 번 이상 해야 할 것으로 금융계는 보고 있다.
우리금융 경영진은 블록세일을 한 차례로 끝내기 위해 지분 6~7%를 자사주 형태로 매입하겠다고 당국에 건의한 바 있다.
김인식 기자 sskis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