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근로.노인일자리 설직후 조기실시

정부는 1월의 실업자가 100만명을 넘어설 정도로 고용 지표가 악화된 것과 관련, 이례적이긴 하지만 일시적인 현상이어서 2~3월부터 호전될 것으로 10일 전망했다.
`
윤종원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갖고 "1월 실업자가 급증한 현상은 구조적인 요인이 아니라 공공 부문 일자리 사업의 시행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적 요인에 기인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희망근로와 청년인턴, 노인일자리 등 2~3월에 시작되는 공공일자리 사업의 모집이 1월중 실시됨에 따라 응모자들이 비경제활동인구에서 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면서 실업자가 대폭 증가했다는 것이다.

실제 1월 희망근로 신청을 받은 결과 10만명 모집에 42만2천명이 응모해 이들이 실업자로 분류됐다.

또 작년 12월까지 실시된 공공 일자리사업이 중단되면서 공공부문의 일자리 창출이 크게 감소한 데다 희망근로, 행정인턴 중단자들이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 구직활동에 나선 것도 실업자 증가의 원인이 됐다.

1월 실업급여 신청자 수는 12만9천명으로 전달 9만4천명보다 크게 늘었다.

하지만 정부는 공공행정을 제외한 민간 부분의 일자리 감소 폭은 크게 완화돼 민간 부문의 자생적인 일자리 창출이 지속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공공행정을 제외한 전년 동월대비 취업자 증감은 작년 1월 -10만5천명, 9월 -25만5천명, 10월 -32만2천명, 11월 -32만8천명, 12월 -16만7천명이었다가 지난달에는 -1만1천명 수준까지 나아졌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처럼 민간 부문의 고용여건이 개선되고 있어 공공 부문 사업을 2~3월 중에 본격 실시할 경우 고용 지표가 크게 나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당초 3월 실시할 예정이던 희망근로와 노인일자리 사업을 설 직후부터 실시하기로 했다.

윤 국장은 "희망근로 등 공공부문 일자리 사업에 대한 수요가 크게 나타난 것이 이번 실업률 증가의 가장 큰 주된 요인"이라며 "공공근로 수요가 크다는 점을 감안해 공공 부문 일자리 사업을 최대한 앞당겨서 실시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희망근로가 농번기와 겹칠 때는 지역 상황에 따라 지자체에서 희망근로 시기를 늦추거나 농어촌 일손 돕기 사업으로 전환해 농촌 인력이 부족하지 않도록 할 방침이다.

(서울연합뉴스) 류지복 심재훈 기자 jbryoo@yna.co.krpresident21@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