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화되는 'G2 패권전쟁'] (中) 중국 '美국채 매각' 카드 흔들지만…역풍 딜레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中) 폭발 직전 환율분쟁
국채값 폭락 國富 줄고 달러가치 하락 '이중 부메랑'
국채값 폭락 國富 줄고 달러가치 하락 '이중 부메랑'
"미국과 중국의 관계는 자칫 상대방을 질식시킬 정도로 강력히 포옹한 사이다. 관계가 악화됐다고 해서 포옹을 쉽게 풀 수도 없다. "(에스워 프래새드 미국 브루킹스연구소 수석연구원)
미국 의회예산국은 올 회계연도(2009년 10월~2010년 9월)의 정부 부채(미 정부가 국채를 발행해 자금을 조달한 금액 기준)가 8조797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이자 지출비용은 207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의 경우 부채는 7조5440억달러,이자가 1870억달러였다. 이 중 해외 정부나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미 국채 비중은 47.5%였다. 중국은 지난해 12월 말 현재 7554억달러(10.0%)를 보유해 일본의 7688억달러(10.2%)에 이어 2위였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국채로 중국에 매인 미국을 '노예 신세'로 표현했다.
그렇다고 중국이 위안화 절상을 압박하는 미국에 대응하기 위해 마음 놓고 국채를 내다팔 수 있는 입장은 아니다. 국채를 대량 매각하면 국채 가격이 폭락하고,달러 가치도 동반 하락해 중국에는 결국 이중의 부메랑이 돼서 돌아올 수 있다.
소비력을 따져봐도 중국은 미국 시장에 대한 수출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2008년 중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미국의 10분의 1 수준이다. 미국의 전체 민간소비가 10조달러인 반면 중국은 1조5000억달러에 불과하다. 오바마 대통령이 세계 경제 균형 차원에서 내수시장을 확대해 미국 제품을 소비하는 시장이 돼 달라고 중국을 압박하는 까닭이다.
미국은 천문학적인 재정적자에 허덕이고 있다. 세계 최대 외환보유국인 중국에 여전히 돈을 빌려야 하는 딜레마에 빠져 있다. 미 국채는 양국이 정치 · 외교 · 군사 · 위안화 환율 문제를 놓고 대립각을 세울 때마다 뜨거운 감자가 될 것으로 보인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 comeon@hankyung.com
미국 의회예산국은 올 회계연도(2009년 10월~2010년 9월)의 정부 부채(미 정부가 국채를 발행해 자금을 조달한 금액 기준)가 8조797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이자 지출비용은 207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의 경우 부채는 7조5440억달러,이자가 1870억달러였다. 이 중 해외 정부나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미 국채 비중은 47.5%였다. 중국은 지난해 12월 말 현재 7554억달러(10.0%)를 보유해 일본의 7688억달러(10.2%)에 이어 2위였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국채로 중국에 매인 미국을 '노예 신세'로 표현했다.
그렇다고 중국이 위안화 절상을 압박하는 미국에 대응하기 위해 마음 놓고 국채를 내다팔 수 있는 입장은 아니다. 국채를 대량 매각하면 국채 가격이 폭락하고,달러 가치도 동반 하락해 중국에는 결국 이중의 부메랑이 돼서 돌아올 수 있다.
소비력을 따져봐도 중국은 미국 시장에 대한 수출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2008년 중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미국의 10분의 1 수준이다. 미국의 전체 민간소비가 10조달러인 반면 중국은 1조5000억달러에 불과하다. 오바마 대통령이 세계 경제 균형 차원에서 내수시장을 확대해 미국 제품을 소비하는 시장이 돼 달라고 중국을 압박하는 까닭이다.
미국은 천문학적인 재정적자에 허덕이고 있다. 세계 최대 외환보유국인 중국에 여전히 돈을 빌려야 하는 딜레마에 빠져 있다. 미 국채는 양국이 정치 · 외교 · 군사 · 위안화 환율 문제를 놓고 대립각을 세울 때마다 뜨거운 감자가 될 것으로 보인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