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의 힘겨루기가 갈수록 격화되고 있다. 세계 정치 · 경제를 좌우하는 두 거대세력(G2)간 마찰은 국제 질서에 큰 변화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양국 간 공방전은 분야를 가리지 않는다. 미국의 대(對) 대만 무기 판매,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 달라이 라마의 오바마 대통령 면담 등을 둘러싸고 날카로운 설전을 주고받는 등 군사적 · 외교적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전기담요 닭고기 등을 대상으로 최고 231%의 보복관세를 주고받는 기세 싸움도 벌어지고 있다.

특히 위안화 절상 문제는 글로벌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점에서 세계적 관심사로 부상했다. 중국은 미국의 줄기찬 요구에도 불구하고 위안화 절상에 나서기는커녕 보유중인 미 국채를 내다파는 등 맞불을 놓고 있는 형편이다. 수출주도 성장정책을 바꾸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힌 셈이다.

반면 미국은 중국이 위안화 가치를 낮게 유지해 막대한 무역흑자를 올림은 물론 국내 경제에까지 거품을 만들고 있다며 맹비난하고 있다. 확대일로의 재정 · 경상 적자와 치솟는 실업률 등을 생각할 때 시장을 내주고만 있을 수는 없다는 것이다. 더구나 미 정부는 5년내 수출을 2배로 늘려 200만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선언한 상태다. 이 같은 입장 변화는 대규모 무역적자를 감수하며 세계시장에 달러 유동성을 공급해왔던 미국의 역할이 더이상 유지되지 않을 것임을 뜻한다는 점에서 다른 많은 나라들에게도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 역시 미 · 중 마찰이 남의 일이 아님은 물론이다. 양국은 우리의 1,2위 수출시장인 만큼 국내경제에 미칠 영향이 대단히 클 수밖에 없다. 특히 위안화 환율 문제가 어떻게 귀착되느냐에 따라 국제 부동자금의 흐름이 바뀔 수 있고, 원화에 대한 절상 압력이 가중(加重)될 가능성 또한 배제하기 어렵다. 따라서 미 · 중 갈등에 따른 시나리오별 대응전략을 마련함은 물론 미국시장 진출의 촉매제가 될 한 · 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을 위해서도 한층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