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2005년 이후 건립됐거나 신축 중인 지방자치단체 청사들의 에너지효율 등급을 설계 변경이나 시설개선을 통해 모두 3등급 이상으로 바꾸기로 했다고 22일 발표했다.

행안부는 신축 중인 10개 청사 중 공정률이 10% 이하인 충남도청사와 설계단계인 전북 완주군청사는 에너지효율 1등급에 맞게 설계를 바꾸도록 지시하기로 했다. 골조 공사가 상당 부분 이뤄진 서울시청 등 8개 청사는 에너지 고효율 시설로 바꿔 3등급 이상으로 올리기로 했다.

2005년 이후 신축된 18개 청사는 전문기관에 의뢰해 에너지효율 등급을 평가,3등급 미만은 시설을 개선토록 할 방침이다. 용인시와 성남시는 시범 평가에서 '등급 외'로 나타나 3등급으로 맞추기가 사실상 어려운 점을 감안,2개 등급(100?i/㎡) 이상을 올리는 선에서 조정할 방침이다. 호화청사 논란을 빚은 이들 지자체의 대형 유리벽과 에스컬레이터 등은 개선명령을 내릴 예정이다.

행안부는 2004년 이전 건립된 청사는 가급적 신축하지 말고 리모델링을 통해 에너지효율을 3등급 이상으로 높이도록 할 계획이다. 해당 비용은 청사 정비기금 등에서 전액 지원키로 했다. 또 지자체 청사의 에너지 사용실적을 매달 점검하고 자치단체별 비교 · 분석 결과를 분기별로 공표하기로 했다. 에너지를 많이 절감하는 지자체는 교부세 산정 때 인센티브를 제공하고,절감 노력을 하지 않는 지자체는 재정적인 불이익과 함께 감사원 · 행안부 감사 대상으로 정하기로 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