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닷컴] 상하이의 연구개발(R&D)단지 쯔주과학원구에는 마이크로소프트(MS) 인텔 옴론 등 세계적인 기업들이 입주해 있다.단지내에 있는 상하이교통대 학생들을 연구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잇점이 이들 글로벌 기업의 연구소를 끌어들였다.

뉴욕타임스(NYT)는 21일 미·중 갈등을 불러왔던 구글 G메일 해킹의 진원지로 중국에서 공학 인재들이 넘쳐나는 상하이교통대가 지목됐다고 보도했다.NYT는 컴퓨터 전문 중국군을 육성하는 산둥성 란샹고급기공학교도 구글 해킹의 진원지로 파악됐다고 전했다.

장쩌민 전 국가주석이 나온 상하이교통대는 중국을 과학기술 대국으로 변모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 명문학교다.상하이교통대 학생들은 최근 IBM 후원으로 열린 국제 컴퓨터프로그래밍 대회에서 스탠포드 학생 등을 제치고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이 대학은 세계적인 해커와 웹보안 전문가의 초청 강연도 자주 갖는다.

파이낸셜타임스(FT)도 22일 중국 당국이 해킹 개입 여부를 부인하기 힘든 정황이 포착됐다고 보도했다.FT는 미국 조사팀에서 중국인 프리랜서 보안 컨설턴트가 구글 해킹에 사용된 프로그래밍 코드를 만들었다는 사실을 파악했다고 전했다.이 중국인은 마이크로소프트(MS)의 익스플로러가 갖고 있는 보안 취약점을 활용해 해킹 코드를 만든 것으로 알려졌다.이에 대해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상하이교통대가 구글 해킹의 진원지라는 주장은 터무니 없다고 보도했다.

한편 미국과 유럽연합(EU)은 방화벽 라우터 스마트카드 등의 소스코드 제출 의무화 방침을 취소해줄 것을 중국에 요구하고 있다고 FT가 전했다.당초 작년 5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던 이 규제는 해당 IT(정보기술) 제품의 핵심 기밀이 유출되거나 이들 제품을 설치한 기업들이 중국 당국의 해킹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는 우려로 미국 등이 강력 반발,시행시기를 오는 5월1일로 1년 연기했었다.구글 해킹 사태가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 규제는 중국 정부와 외국 기업이 정보보안과 지식재산권 문제를 둘러싸고 벌이는 분쟁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고 FT는 분석했다.

오광진 기자 kj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