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 마산 · 진해 통합시의 명칭이 창원시로 결정되면서 통합의 물꼬가 트인 만큼 통합의 역동성을 키우는 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지난 1월14일 창 · 마 · 진 통합준비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통합을 주도하고 있는 장동화 창원시의회 부의장(47)은 25일 "그동안 준비 과정에서 시행착오도 있었지만 창 · 마 · 진 통합 창원시 설치법 개정안이 곧 국회를 통과하면 위원회와 통합시 실무지원단이 힘을 합쳐 통합시의 구체적인 골격을 만들어 나갈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장 위원장은 통합 과정에서 가장 큰 문제점으로 여론조사를 지적했다. 처음 시도하는 자율 통합이어서 선례가 없던 탓에 세종시 사례를 본떠 인터넷,서면,팩스 등으로 의견을 접수했는데 각 시의 통 · 반장을 동원한 여론몰이가 많았다는 것.장 위원장은 "통합을 새로 시도하는 다른 지역은 개인이 직접 의견을 제출하거나 우편으로 접수받아 책임감과 여론 조작 우려를 불식시켜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그는 이어 "지자체가 여론몰이를 위해 자기 지역에 유리한 내용의 현수막과 유인물을 붙이거나 타 지역은 부적합하다는 비방 내용까지 담은 내용을 홍보해 지역 간 불신의 골을 깊게 만든 점도 있다"며 "철저한 페어 플레이와 관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통합을 추진하는 데 한 달 정도 시간을 확보했는데 너무 짧다고 지적했다. "기간이 길면 갈등을 확산시킬 수 있어 부적절하지만 45일에서 50일 정도는 돼야 충분한 토론과 논의를 통해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통합을 위한 제도적 기반도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 위원장은 "정부가 통합시에 특별교부세 등을 10년 동안 2400억원을 주기로 했는데 아직 법적 강제조항이 없다"며 "통합시 인구가 108만명에 달하고 통합시의 모델 케이스인 만큼 광역시급에 준하는 지원제도와 법적 토대를 마련하는 방안을 시급히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당장 눈앞에 닥친 과제도 적지 않다. 통합시 명칭과 임시 청사는 비교적 쉽게 창원시와 창원시청사로 결정났지만 청사 소재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는 "마산과 진해시가 통합시 청사를 자기 지역에 유치하려고 공방을 펼쳐 힘든 상황"이라며 "환경평가,교통영향평가 등을 통해 객관적인 기준을 마련해 승복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장 위원장은 "잘 나가는 창원이 다른 지역과 합치면 오히려 경쟁력이 떨어진다며 반대하는 목소리도 있었지만 진해 관광휴양도시,마산 로봇시티,창원 첨단소재산업도시를 통합 운영하면 경쟁력이 훨씬 강해질 것으로 나타났다"며 "창 · 마 · 진은 역사적으로 같은 뿌리임을 살려 다양한 아이디어를 찾아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도시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창원=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