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의 가계부채 부담이 고소득층의 약 2.5배에 이른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현대경제연구원 박덕배 전문 연구위원은 1일 '국내 가계부채,대비책 필요하다'는 보고서에서 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 등을 인용,소득 1분위(하위 20%)의 가처분소득에서 부채가 차지하는 비율이 320%로 소득 4~5분위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 비율(120%)의 약 2.5배라고 분석했다.

부채 원리금을 가처분소득으로 나눈 원리금 상환 부담률도 소득 1분위가 28%로 4~5분위(11%)와 비교하면 약 2.5배에 이른다고 덧붙였다.

박 연구위원은 가계부채의 위험성은 미국이나 영국 등 부채 문제로 위기를 겪은 선진국과 '닮은꼴'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국내 가계의 평균 원리금 상환 부담률은 15%가량으로 미국(13%)보다 높고, 2007년 말 기준 개인 가처분소득 대비 개인 금융부채는 약 150%로 영국(170%)과 비슷한 수준이라는 것이다. 금융부채는 금융자산의 45%로 이 비율이 20~30% 수준인 미국 영국 일본보다 높았다.

박 위원은 "국내 가계의 자산은 대부분 부동산 같은 실물자산이기 때문에 부동산 가격이 급락하거나 현금화가 더디면 부채 상환 능력이 매우 약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영국은 2000년대 들어 저금리,집값 상승에 따른 주택담보대출 증가,신용구매 증가 등으로 금융위기의 직접적인 타격을 받았는데 우리나라도 비슷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부채 상환 능력이 약한 저소득층의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가계부채 만기 구조를 장기화하는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