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총 "우린 사회의 천덕꾸러기…온건해져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영훈 위원장 "붉은 띠ㆍ쇠파이프 투쟁 설땅 없어"
민노총 '타임오프 심의위' 참여키로
민노총 '타임오프 심의위' 참여키로
김영훈 민주노총 위원장은 "민주노총이 우리 사회에서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고 있다"며 "앞으로는 좀 더 온건한 노동운동을 펼쳐 민주노총의 브랜드 가치를 높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지난 3일 오후 시내 모 음식점에서 가진 한국노사관계학회 초청 만찬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히고 "조합원과 국민이 좋아할 수 있는 노동단체를 만드는 데 조직의 역량을 모으겠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민주노총의 투쟁 노선도 바뀌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그는 "이제 붉은 머리띠를 매고 쇠파이프를 휘두르는 과격 투쟁은 설 땅이 없다"며 "평화와 평등,연대를 중시하는 세상을 만들고 좀 더 낮고 친근한 자세로 국민에게 다가가는 민주노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노동 관련 학자와 기업의 노무관리 담당 임원들은 민주노총이 국민으로부터 외면받고 있다는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변화를 통해 거듭나겠다는 의지를 내보인 것으로 풀이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총파업 투쟁을 벌이기 위한 수단으로 한 해 몇 번씩 개최하던 대의원대회도 한 번으로 끝내겠다"고 약속했다. 총파업 남발을 자제하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졌다.
그는 노조법(노동조합 및 노사관계 조정법) 개정과 관련해서는 "정부가 노조의 단결권을 보장하는 차원에서 복수노조를 허용했다고 하는데 이에 동의하기 어렵다"며 "복수노조를 허용하려면 산별교섭 제도화 등 전제조건이 충족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임자 임금 지급 금지에는 "타임오프(근로시간 면제) 제도가 시행되면 노동운동이 망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동안 한국노총 등 노동계가 노조의 존립 기반을 무너뜨릴 수 있다며 노조법 개정 과정에서 끝까지 반대해온 타임오프제 도입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그는 노사정위원회의 사회적 대화 참여에 대해서는 "참여 여부를 논의하기에는 아직 조직 내부의 분위기가 성숙되지 않았다"며 당분간 참여 불가 입장을 밝혔다.
김 위원장은 오는 11월 서울에서 열리는 G20에 대응하기 위해 해당국가 노조간부들이 참석하는 'L(labor)20'을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그는 "11월은 매년 대규모 노동자대회가 열리는 시기인데다 올해는 고(故) 전태일 열사 사망 40주기(11월13일)와 세계노동절 120주기가 맞물려 있어 G20에 맞춰 L20을 개최하기에 적절하다"고 말했다. L20은 다보스포럼에 대한 반발로 생겨난 '세계사회포럼'을 벤치마킹한 것으로 반자본ㆍ반신자유주의 내용을 담은 서울선언도 채택할 예정이다. 그는 "준비기간이 많지 않지만 열심히 노력해 모양새 있는 큰 행사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조직 내에서 온건파로 분류되는 김 위원장은 지난 1월28일 정기 대의원총회에서 제6기 위원장으로 선출돼 2013년까지 민주노총을 이끌게 됐다.
한편 타임오프제 시행방안을 마련하게 될 근로시간면제심의위원회(근면위) 참여를 거부해온 민주노총은 4일 근면위에 참여키로 입장을 선회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개악 노조법을 원칙적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지만 교섭과 투쟁 노선을 병행하기 위한 일환으로 근면위에 참여하기로 했다"며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노조법)의 부당성을 알리고 교섭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윤기설 노동전문/고경봉 기자 upyks@hankyung.com
김 위원장은 지난 3일 오후 시내 모 음식점에서 가진 한국노사관계학회 초청 만찬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히고 "조합원과 국민이 좋아할 수 있는 노동단체를 만드는 데 조직의 역량을 모으겠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민주노총의 투쟁 노선도 바뀌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그는 "이제 붉은 머리띠를 매고 쇠파이프를 휘두르는 과격 투쟁은 설 땅이 없다"며 "평화와 평등,연대를 중시하는 세상을 만들고 좀 더 낮고 친근한 자세로 국민에게 다가가는 민주노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노동 관련 학자와 기업의 노무관리 담당 임원들은 민주노총이 국민으로부터 외면받고 있다는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변화를 통해 거듭나겠다는 의지를 내보인 것으로 풀이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총파업 투쟁을 벌이기 위한 수단으로 한 해 몇 번씩 개최하던 대의원대회도 한 번으로 끝내겠다"고 약속했다. 총파업 남발을 자제하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졌다.
그는 노조법(노동조합 및 노사관계 조정법) 개정과 관련해서는 "정부가 노조의 단결권을 보장하는 차원에서 복수노조를 허용했다고 하는데 이에 동의하기 어렵다"며 "복수노조를 허용하려면 산별교섭 제도화 등 전제조건이 충족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임자 임금 지급 금지에는 "타임오프(근로시간 면제) 제도가 시행되면 노동운동이 망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동안 한국노총 등 노동계가 노조의 존립 기반을 무너뜨릴 수 있다며 노조법 개정 과정에서 끝까지 반대해온 타임오프제 도입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그는 노사정위원회의 사회적 대화 참여에 대해서는 "참여 여부를 논의하기에는 아직 조직 내부의 분위기가 성숙되지 않았다"며 당분간 참여 불가 입장을 밝혔다.
김 위원장은 오는 11월 서울에서 열리는 G20에 대응하기 위해 해당국가 노조간부들이 참석하는 'L(labor)20'을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그는 "11월은 매년 대규모 노동자대회가 열리는 시기인데다 올해는 고(故) 전태일 열사 사망 40주기(11월13일)와 세계노동절 120주기가 맞물려 있어 G20에 맞춰 L20을 개최하기에 적절하다"고 말했다. L20은 다보스포럼에 대한 반발로 생겨난 '세계사회포럼'을 벤치마킹한 것으로 반자본ㆍ반신자유주의 내용을 담은 서울선언도 채택할 예정이다. 그는 "준비기간이 많지 않지만 열심히 노력해 모양새 있는 큰 행사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조직 내에서 온건파로 분류되는 김 위원장은 지난 1월28일 정기 대의원총회에서 제6기 위원장으로 선출돼 2013년까지 민주노총을 이끌게 됐다.
한편 타임오프제 시행방안을 마련하게 될 근로시간면제심의위원회(근면위) 참여를 거부해온 민주노총은 4일 근면위에 참여키로 입장을 선회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개악 노조법을 원칙적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지만 교섭과 투쟁 노선을 병행하기 위한 일환으로 근면위에 참여하기로 했다"며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노조법)의 부당성을 알리고 교섭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윤기설 노동전문/고경봉 기자 upyk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