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3ㆍ7총선] '바그다드 자생력' 테스트…여당 과반 못넘는 불안한 승리될 듯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라크 미래' 7일 결정된다
말라키 총리가 이끄는 親美여당…승리해도 연정은 불가피
말라키 총리가 이끄는 親美여당…승리해도 연정은 불가피
혼돈이냐 안정이냐…. 이라크가 선택의 갈림길에 섰다. 이라크인들은 2003년 이라크 전쟁 이후 지속된 혼란과 폭력의 시대를 마감하고 안정과 재건의 시대로 넘어갈 것인가를 7일 치러질 총선에서 결정하게 된다. 총선 결과에 따라 미군의 '출구전략'(이라크 주둔군 철수)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시험대 오른 이라크 민주주의
2003년 미군 주도의 연합군 공격으로 후세인 정권이 무너진 지 7년,2005년 12월 총선 이후 4년3개월 만에 치러지는 이번 총선은 분명 이라크 민주화의 성패를 가늠할 분수령이다. 총선이 자유롭고 공정하게 마무리되면 정치적 안정을 확보한 이라크는 재건의 초석을 단단히 다질 수 있다. 하지만 이슬람 시아파와 수니파 등 종파 간 갈등이 극으로 치달으며 테러 등 폭력사태가 벌어지거나 선거 불공정 시비가 불거지면 이라크는 또다시 혼란에 빠져들 가능성이 크다.
이번 선거의 최대 관심사는 이라크의 정치적 통합이다. 1890만명의 유권자가 참여해 6200명의 후보 중에서 325명의 의원을 선출한다. 2005년 선거는 수니파가 불참한 반쪽짜리 선거였다. 이라크 전체 인구의 35%를 차지하는 수니파는 시아파(전체 인구 60%)에 비해 수적으로 열세인데도 1932년 이라크 건국 이후 줄곧 집권세력으로 자리 잡아왔다. 2003년 사담 후세인 정권이 붕괴되면서 시아파에 처음으로 정권을 내준 수니파는 시아파 정부를 인정하지 않았고 2005~2006년에는 내전 수준의 폭력적 대립이 이어졌다. 따라서 이번 선거를 통해 정파 간 분열을 봉합하고 정치적 안정을 꾀할 수 있을지가 최대 관심사다.
◆여론조사 여당 우세… 연정 불가피할 듯
여론조사에 따르면 시아파인 말리키 현 총리가 이끄는 법치국가연합이 총선에서 제1당이 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정권을 재창출하기 위해선 연립정부 구성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라크 국립미디어센터가 최근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법치국가연합이 29.9%의 지지율을 기록하며 선두를 달리고 있으나 과반에는 못 미친다. 시아파 핵심 인사인 이야드 알라위 전 총리와 수니파 주요 정당인 국민대화전선이 합세한 민족주의 성향의 이라키야는 21.8%로 선두를 바짝 뒤쫓고 있다. 반미 · 친이란 성향의 이라크국민연맹은 17.2%로 나타나 총선 이후 무시할 수 없는 정치세력으로 떠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쿠르드 정파를 지지한다는 유권자도 10%로 나타나 차기 총리 선출에 '캐스팅보트'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
친미성향의 말리키 현 총리는 이라크 안정화를 치적으로 내세우며 원유 수출 증대를 통한 경제 재건을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다. 석유 매장량 세계 3위인 이라크는 지난해 국제입찰을 통해 10개의 유전 개발업체를 선정했다. 앞으로 7년 내에 원유 생산을 현재보다 5배 가까이 많은 하루 1200만배럴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법치국가연합이 총선에서 승리하면 오는 6월 의회에서 말리키 총리가 재선되고 재건 계획이 한층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미군 '출구전략'의 가늠자
이번 총선이 공정하게 치러져 미국의 이라크 안정화 전략이 성공한다면 출구전략에는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6월 철군을 시작한 미군은 이라크에 현재 9만6000명이 주둔 중이다. 미군은 올 8월 말까지 전투병 4만6000명의 철군을 완료하고,나머지 비전투병 5만명도 이라크 군경을 훈련시킨 뒤 내년 말까지 완전 철수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선거 후에도 불안한 상황이 계속된다면 철군 계획이 늦춰질 가능성도 있다. 레이 오디어노 이라크 주둔 미군사령관은 지난달 말 "이라크 총선 이후 정치적 혼란 상태가 야기될 경우 미군의 출구전략을 늦출 수도 있다"고 말했다.
◆테러 · 종파 간 갈등 여전
최근 빈발하고 있는 테러는 이라크의 미래에 그림자를 드리운다. 총선을 사흘 앞둔 4일 군인과 경찰 등을 대상으로 부재자 투표가 시작되자 바그다드 내외곽의 투표소를 겨냥한 3건의 폭탄테러가 일어나 10여명이 숨졌다. 3일엔 바그다드 북쪽 바쿠바 지역에서 3건의 연쇄 폭탄테러로 33명이 사망했다. 이라크 내 알카에다 지도자인 아부 오마르 알-바그다디는 지난달 "이라크 총선은 시아파가 꾸민 정치적 범죄"라며 "군사적 대응을 포함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선거를 막겠다"고 경고했다. 올 들어서도 바그다드 고급호텔과 정부 감식기관을 겨냥한 테러가 발생해 이미 50여명이 숨졌다.
시아파와 수니파의 갈등으로 인한 혼란도 심화되고 있다. 시아파인 현 정부는 후세인 시절 집권당인 바트당에 참여했던 400여명에 대해 총선 출마를 금지했다. 수니파 주요 정당인 국민대화전선(NDF)이 한때 총선 불참을 선언, 수니파 정파의 총선 불참이 다시 확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기도 했다. NDF는 '위선자들에게 기회를 줄 수 없다'며 불참 선언을 번복했지만 종파 간 대립은 여전하다. 왈라위 전 총리는 "총선이 불공정하게 치러진다면 이는 민주주의 실패를 의미하며 이라크가 폭력적인 미래로 나아간다는 것을 뜻한다"고 말했다.
서기열 기자 philos@hankyung.com
◆시험대 오른 이라크 민주주의
2003년 미군 주도의 연합군 공격으로 후세인 정권이 무너진 지 7년,2005년 12월 총선 이후 4년3개월 만에 치러지는 이번 총선은 분명 이라크 민주화의 성패를 가늠할 분수령이다. 총선이 자유롭고 공정하게 마무리되면 정치적 안정을 확보한 이라크는 재건의 초석을 단단히 다질 수 있다. 하지만 이슬람 시아파와 수니파 등 종파 간 갈등이 극으로 치달으며 테러 등 폭력사태가 벌어지거나 선거 불공정 시비가 불거지면 이라크는 또다시 혼란에 빠져들 가능성이 크다.
이번 선거의 최대 관심사는 이라크의 정치적 통합이다. 1890만명의 유권자가 참여해 6200명의 후보 중에서 325명의 의원을 선출한다. 2005년 선거는 수니파가 불참한 반쪽짜리 선거였다. 이라크 전체 인구의 35%를 차지하는 수니파는 시아파(전체 인구 60%)에 비해 수적으로 열세인데도 1932년 이라크 건국 이후 줄곧 집권세력으로 자리 잡아왔다. 2003년 사담 후세인 정권이 붕괴되면서 시아파에 처음으로 정권을 내준 수니파는 시아파 정부를 인정하지 않았고 2005~2006년에는 내전 수준의 폭력적 대립이 이어졌다. 따라서 이번 선거를 통해 정파 간 분열을 봉합하고 정치적 안정을 꾀할 수 있을지가 최대 관심사다.
◆여론조사 여당 우세… 연정 불가피할 듯
여론조사에 따르면 시아파인 말리키 현 총리가 이끄는 법치국가연합이 총선에서 제1당이 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정권을 재창출하기 위해선 연립정부 구성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라크 국립미디어센터가 최근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법치국가연합이 29.9%의 지지율을 기록하며 선두를 달리고 있으나 과반에는 못 미친다. 시아파 핵심 인사인 이야드 알라위 전 총리와 수니파 주요 정당인 국민대화전선이 합세한 민족주의 성향의 이라키야는 21.8%로 선두를 바짝 뒤쫓고 있다. 반미 · 친이란 성향의 이라크국민연맹은 17.2%로 나타나 총선 이후 무시할 수 없는 정치세력으로 떠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쿠르드 정파를 지지한다는 유권자도 10%로 나타나 차기 총리 선출에 '캐스팅보트'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
친미성향의 말리키 현 총리는 이라크 안정화를 치적으로 내세우며 원유 수출 증대를 통한 경제 재건을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다. 석유 매장량 세계 3위인 이라크는 지난해 국제입찰을 통해 10개의 유전 개발업체를 선정했다. 앞으로 7년 내에 원유 생산을 현재보다 5배 가까이 많은 하루 1200만배럴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법치국가연합이 총선에서 승리하면 오는 6월 의회에서 말리키 총리가 재선되고 재건 계획이 한층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미군 '출구전략'의 가늠자
이번 총선이 공정하게 치러져 미국의 이라크 안정화 전략이 성공한다면 출구전략에는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6월 철군을 시작한 미군은 이라크에 현재 9만6000명이 주둔 중이다. 미군은 올 8월 말까지 전투병 4만6000명의 철군을 완료하고,나머지 비전투병 5만명도 이라크 군경을 훈련시킨 뒤 내년 말까지 완전 철수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선거 후에도 불안한 상황이 계속된다면 철군 계획이 늦춰질 가능성도 있다. 레이 오디어노 이라크 주둔 미군사령관은 지난달 말 "이라크 총선 이후 정치적 혼란 상태가 야기될 경우 미군의 출구전략을 늦출 수도 있다"고 말했다.
◆테러 · 종파 간 갈등 여전
최근 빈발하고 있는 테러는 이라크의 미래에 그림자를 드리운다. 총선을 사흘 앞둔 4일 군인과 경찰 등을 대상으로 부재자 투표가 시작되자 바그다드 내외곽의 투표소를 겨냥한 3건의 폭탄테러가 일어나 10여명이 숨졌다. 3일엔 바그다드 북쪽 바쿠바 지역에서 3건의 연쇄 폭탄테러로 33명이 사망했다. 이라크 내 알카에다 지도자인 아부 오마르 알-바그다디는 지난달 "이라크 총선은 시아파가 꾸민 정치적 범죄"라며 "군사적 대응을 포함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선거를 막겠다"고 경고했다. 올 들어서도 바그다드 고급호텔과 정부 감식기관을 겨냥한 테러가 발생해 이미 50여명이 숨졌다.
시아파와 수니파의 갈등으로 인한 혼란도 심화되고 있다. 시아파인 현 정부는 후세인 시절 집권당인 바트당에 참여했던 400여명에 대해 총선 출마를 금지했다. 수니파 주요 정당인 국민대화전선(NDF)이 한때 총선 불참을 선언, 수니파 정파의 총선 불참이 다시 확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기도 했다. NDF는 '위선자들에게 기회를 줄 수 없다'며 불참 선언을 번복했지만 종파 간 대립은 여전하다. 왈라위 전 총리는 "총선이 불공정하게 치러진다면 이는 민주주의 실패를 의미하며 이라크가 폭력적인 미래로 나아간다는 것을 뜻한다"고 말했다.
서기열 기자 phil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