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 2 지방선거' 공천을 둘러싼 여야 내부의 파열음이 커지고 있다. 이면에는 6,7월로 예정된 차기 당권 경쟁이 자리하고 있다. 지방선거 결과에 따라 당권구도가 달라진다는 점에서 양보할 수 없는 싸움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이성헌 진통'은 당권 전초전

한나라당은 공천심사위 구성 과정부터 정면 충돌하는 양상이다. 도화선은 친박(친박근혜)계 강성으로 알려진 이성헌 의원이다.

친이(친이명박)계인 정병국 사무총장은 당초 '범친이계 6명, 친박계 3명, 중립 3명, 외부인사 3명'으로 구성된 공심위 안을 만들어 지난주 활동을 시작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지난 8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친박계가 자파 몫으로 공심위에 포함된 구상찬 의원을 이성헌 의원으로 교체해달라고 요구하면서 격론 끝에 최종 결정이 10일로 미뤄졌다. 이 의원은 친박계의 대표적 강경파인 데다 사무부총장을 두 번 지낸 조직 전문가다.

친박 측은 "수적으로 열세인데 내공이 센 이 의원이라도 포함돼야 지난 총선 때와 같은 친박계 공천학살을 막을 수 있다"는 생각이다. 이에 주류 측은 "공심위 구성안은 계파 안배보다 지역 · 선수(選數) 등을 감안해 마련한 것이기 때문에 특정인을 바꾸면 전체 판을 다시 짜야 한다"며 반대하고 있다.

양측이 한 치 양보 없이 대립하는 이유는 지방선거가 끝나자마자 곧바로 전당대회가 예정돼 있기 때문이다. 정몽준 대표와 안상수 원내대표,홍준표 의원,김태호 전 경남지사가 당권경쟁에 나설 태세다.

◆민주 공천갈등은 '丁-鄭'싸움 예고편

시민공천배심원제와 수도권 경선방식을 둘러싼 민주당 내 갈등의 이면에는 지방선거 이후 당권을 겨냥한 계파 간 셈법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호남 공천갈등은 정세균 대표와 정동영 의원 간 차기 싸움의 전초전 성격이 강하다. 정세균 대표는 광주에 시민공천배심원제를 도입하려 했으나 국민경선을 주장하는 정 의원과 박주선 최고위원 등이 강력 반대해 무산됐다. 세 사람 모두 당권경쟁의 당사자들이다. 광주시장 후보의 경우 시민공천배심원제를 도입하면 당 지도부와 가까운 이용섭 의원이,국민경선에는 여론조사에서 앞선 강운태 의원 측이 각각 유리하다는 관측이다.

수도권의 당권 · 비당권파 간 대립도 같은 맥락이다. 각기 자파에 유리한 경선방식을 고집하면서 정면 충돌하고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지방선거에서 자파 인사를 얼마나 심느냐에 따라 차기 당권경쟁의 향배가 달렸다는 인식 때문에 공천방식을 둘러싼 대립이 격화되면서 여야 모두 당권경쟁의 전초전으로 변질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형호/이준혁 기자 chs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