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유럽 일본 등 해외에선 저속 전기자동차의 도로 주행이 활성화돼 있다. 인프라도 어느 정도 갖춰져 있고 정부에서는 전기차를 구입할 때 보조금도 지급하고 있다. 각종 혜택을 줌으로써 전기차 운행을 이른 시일 안에 뿌리내리도록 하기 위해서다.

미국은 1998년부터 전기차를 일반 승용차가 아닌 새로운 유형의 자동차로 분류,운행을 허용했다. 최고시속과 안전벨트 총중량 등 10가지 최소 안전기준을 충족하면 도로를 주행할 수 있다. 미국의 47개 주정부는 전기차의 도로통행을 허용하고 있다. 캘리포니아주 링컨시의 경우 전기차 전용차로를 별도로 설치하는 등 전기차 확대를 위한 인프라를 확충하고 있다. 연방정부와 공기업 군대 민영기업 경찰 학교 등에서 전기차를 활발히 도입하는 추세다. 경찰에서는 주차단속용이나 순찰용으로 전기차를 활용하고 있다.

연방정부와 주정부는 전기차를 구입할 때 별도로 보조금을 주고 있다. 연방정부는 3000달러 안팎을 지급한다. 여기에 주정부 보조금을 합치면 최대 7500달러까지 받을 수 있다. 이 보조금을 받으면 경차값만큼의 돈을 내고 전기차를 구입할 수 있다.

유럽에서도 전기차가 활성화돼 있다. 유럽은 전기차를 사륜 모터사이클로 규정,기본 안전장비를 장착하면 도로주행을 허용하고 있다. 인프라도 속속 갖추고 있다. 영국은 전역에 1000여개의 전기차 충전소를 설치하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연회비 75파운드(약 12만7500원)만 내면 전국 충전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영국정부는 영국을 '유럽 전기차의 수도'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천명한 상태다.

프랑스는 우체국 배달차량을 포함해 공용차량부터 전기차로 교체하고 있다. 작년부터는 파리 도심에 전기차 무인대여소인 '오토리브'를 설치해 운영 중이다. 필요한 구간만큼 전기차를 이용한 뒤 반납하는 형식이다. 스페인도 2014년까지 100만대의 전기차를 도입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2억4000만유로(약3700억원)를 투자하고 있다. 프랑스와 이탈리아가 전기차를 살 때 각각 5000유로(약 773만원)와 2000유로(약 309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유럽 대부분의 나라가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일본도 전기차 활성화에 힘을 쏟고 있다. 현재 전기차에 대한 안전기준은 없다. 그렇지만 지방자치단체별로 소형 특수자동차,경형 4륜자동차,원동기 부착 4륜자동차 등으로 분류해 등록 및 운행을 허용하고 있다. 중앙정부에서는 전기차를 구입할 때 최대 139만엔(약 1730만원)을,지방정부에선 최대 69만엔(약 860만원)의 보조금도 각각 지급한다. 취득세를 면제해주는 등 각종 세금혜택도 주고 있다.

중국도 전기차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최대 5만위안(약 826만원)의 보조금을 주고 있으며 관련 법령도 정비해 저속 전기차가 활성화될 수 있는 장치를 갖춰가고 있다.

하영춘 기자 ha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