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공사가 성과연동 연봉제를 전면 실시하기로 했다고 한다. 취임 후 잇따른 인사개혁 조치를 취해 온 김쌍수 한전 사장은 지난주 열린 주주총회에서 "성과에 따른 책임과 보상을 명확히 하겠다"며 급여체계도 전면 개편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한전은 지난 2007년 호봉제에서 연봉제로 전환했지만 사실상 호봉제와 다름없이 직급에 따라 연봉을 지급해왔다. 국내 최대 공기업인 한전의 성과연동 연봉제 전면 도입은 다른 공기업에도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성과연동 연봉제를 공공기관에도 도입하는 문제는 사실 정부 차원에서 적극 검토되어 왔다. 정부는 공공기관 선진화의 일환으로 연봉제 도입을 추진해왔으나 그간 큰 성과를 보지 못했다. 공공기관들의 반대 때문이었다. 실제 공공기관 운영위원회는 지난해 10월 297개 공공기관에 적용할 연봉제 표준모델안을 의결할 계획이었으나 이를 관철(貫徹)하지 못했고 지난 1월에 또 한 차례 연기됐다.

마침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도 공공기관 연봉제의 연내 전면 도입 방침을 밝힌 것은 급여체계 혁신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강한 의지 표현으로 보여 눈길을 끈다. 윤 장관은 같은 직급이라도 성과에 따라 민간기업처럼 연봉에 20~30% 차등을 두는 내용을 골자로 한 연봉제 표준모델안을 조만간 공개, 공공기관 직원간 경쟁을 촉진하고 업무 효율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강한 의지에 비춰볼 때 대표 공기업인 한전의 급여체계 개편은 공공기관의 본격적인 성과연동 연봉제 시행의 신호탄으로 보기에 충분하다. 다만 이번에도 실패하지 않기 위해서는 정부의 확고한 태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 다시 준비시간이 필요하다는 등의 핑계로 어물쩍 넘어가서는 안된다는 얘기다. 아울러 정부는 공공기관 경영평가 차등 정도를 현재보다 확대하는 등 관련 인센티브를 더욱 늘리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공기업 개혁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로 연봉제 전면 도입은 그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철밥통으로 불리며 무사안일의 대명사였던 공기업들의 경영체질과 조직문화 혁신을 위해서도 연봉제 도입은 확산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