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에는 놀이방을 열었다. 자연공원과 장서 1000여권을 비치한 북카페,편안히 얘기를 나눌 수 있는 사랑방 등이 마련돼 있다. 여기에 음악과 미술감상을 할 수 있는 테이블 형태의 터치스크린,방음 시설이 완비돼 악기 연주와 영상 시청이 가능한 브레인 샤워룸까지 있다. 포스코센터에 만든 놀이방 '포레카'는 놀이문화를 통해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겠다는 정준양 회장의 의지가 담겨있다. 포레카는 고대 그리스 수학자 아르키메데스의 '유레카' 일화와 포스코를 합성한 말.'포스코 문제해결의 장'이란 의미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포스코가 어린이집과 놀이방을 개설하는 등 인재 육성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과정에는 정 회장의 철학인 '통섭(統攝)'이라는 단어가 바탕에 깔려 있다. 통섭은 '지식의 통합'이라고도 하는데 자연과학과 인문학을 연결하려는 통합 학문 이론에서 나왔다. 포스코가 추구하는 통섭형 인재는 자연과학적 지식과 인문학적 소양을 두루 갖춘 지식융합적 인재를 뜻한다.
통섭형 임직원을 키우기 위해 신입사원을 1년 동안 제철소 생산 현장에 보내는 프로그램도 마련했다. 그동안 포스코는 신입사원들을 6주 동안 인재개발원에서 교육한 뒤 사무직과 기술직 등 직군별로 구분해 부서에 배치해 왔다. 직원 대상 학습프로그램도 대폭 강화했다. 매달 둘째 주 수요일엔 인문학 강좌를 연다.
철강사만의 실무능력을 가진 인재도 강조하고 있다. 포스코가 신입사원 교육 과정에서 가장 중점을 두는 것은 '조기 착근'.회사 전반을 이해하고 직무와 관련된 기초역량을 배양시켜 가급적 빨리 자기 일에 적응하도록 돕는 것이다. 포스코는 새내기들을 현업 부서에 배치하고 나면 실무능력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5개월간의 현장학습(OJT) 기간에는 단순한 지원업무보다 비교적 단기간에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업무를 신입사원에게 부여한다.
회사 관계자는 "이 같은 포스코의 인재경영은 기존 사업을 재해석하고 새롭게 접근할 수 있는 기업의 창조적 전환 능력을 육성하기 위한 것"이라며 "앞으로 혁신적인 채용 및 인재 관리 시스템을 정착시켜 글로벌 철강사로서의 위상을 더 확고히 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