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흑 같던 고용시장에 작지만 희망적인 조짐이 나타났다. 통계청이 어제 발표한 2월 고용동향을 보면 전체 취업자는 2286만7000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2만5000명 늘었다. 지난 1월에 이어 2개월 연속 증가한 것이다. 실업률은 4.9%로 전월보다 0.1%포인트 떨어졌다.

하지만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실질적인 고용사정이 개선(改善)됐다고 말하기 어려운 것 또한 현실이다. 2월 실업자는 116만9000명으로 100만 실업시대가 2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특히 15~29세 청년층 실업률은 10.0%로 뛰어 2000년 2월 10.1% 이래 10년 만에 최악을 기록했다. 시기적으로 막 대학을 나온 젊은이들이 구직 대열에 합류함으로써 청년층 실업률이 높아진 측면도 있지만 실업은 고착되는 성격이 있어 이만저만 걱정되는 게 아니다.

전체 취업자가 늘어난 것도 1월의 경우 임시직 감소폭이 12만1000명이나 됐던 반면 2월에는 2만4000명으로 둔화된 게 큰 이유이다. 임시직은 정부가 재정을 투입해 벌여놓은 임시방편적인 공공 일자리 등이 대부분이다. 이런 일자리는 언제 사라질지 모른다. 게다가 임시 일자리에 하루 생계를 의존하는 사람들과 일하고 싶지만 어쩔 수 없이 쉬었다는 사람 등 고용취약계층을 감안한 사실상 실업률은 20%에 육박하는 실정이다. 고용통계의 부분적 호전에 방심할 수 없는 이유다.

그런데도 정부의 고용정책은 매끄럽지 못하다. 중소기업들이 추가로 인력을 채용하면 1인당 300만원씩 법인세를 깎아준다지만 현장에선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지자체 등을 대상으로 한 유연근로제 시범사업도 호응이 크지 않다. 창업을 장려하기 위한 자영업자의 고용보험 가입허용도 시행되지 않고 있다.

정부는 고용대책을 다시 한번 종합점검,효율적인 대책을 세우기 바란다. 그 핵심은 결국 일자리를 만들어 내는 주체인 기업들의 투자가 활성화(活性化)되도록 하고 창업 환경을 개선하는 것임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