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이 오는 24일부터 28일까지 통상 및 환율 문제를 놓고 협상을 벌인다고 한다. 이번 협상에서 양국이 어떤 결과를 도출(導出)해낼지는 불확실하지만 위안화 절상이 핵심 주제가 될 것임은 분명하다는 점에서 전 세계는 물론 우리나라도 지대한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중국은 미국의 위안화 절상 요구에 반발하고 있지만 사실 위안화 절상은 시간 문제인 것으로 보인다.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까지 그 필요성을 언급하는 등 압력이 거세지고 있는데다 내부적으로도 해외 투기자금 유입에 따른 자산가격 버블을 막고 경기과열을 식히기 위해서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최근 중국이 환율 절상에 따른 '스트레스 테스트'를 벌이고 있는 것만 봐도 위안화 절상이 멀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앞서 이달 초 열린 전국인민대표자대회에서 저우샤오촨 중국 인민은행장도 그 가능성을 시사하는 발언을 했다.

결국 위안화 절상은 올해 안에 이뤄질 가능성이 매우 높고 시기도 예상보다 앞당겨질 공산이 크다. 남은 문제는 방식과 폭이다. 금융위기 직후인 2008년 7월부터 달러당 6.82위안으로 고정시켜 온 위안화 페그제를 폐지할지, 아니면 이를 유지하면서 절상만 할지, 절상하더라도 한 번에 할지 몇 차례로 나누어 할지 등은 아직 불투명하다.

위안화 절상은 국내 기업의 수출경쟁력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중국의 경기 둔화(鈍化)에 따른 마이너스 효과도 만만치 않다. 원화가치가 간접적인 상승 압력을 받을 수도 있다. 2005년 위안화가 19% 정도 절상됐을 때 원화가치는 18% 정도 상승한 전례가 있다. 지금은 당시보다 중국 의존도가 훨씬 더 높아진 점을 감안하면 그 영향은 더 클 수도 있다. 위안화 절상이 사실상 카운트다운에 들어간 만큼 정부 업계 할 것 없이 시나리오별 대응책을 서둘러 마련하지 않으면 안된다. 절상 시기와 폭, 방식은 물론 국내외 및 장 · 단기 효과까지도 입체적으로 분석해 다각적인 준비에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