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 출고 때의 옷값을 100이라고 할 때, 이 단계별 판매가격을 평균한 값은 얼마나 될까? 품목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체로 250 정도 된다고 한다. 제조단계에서 생산한 가치가 100인데 비하여 유통단계는 150의 가치를 생산하는 것이다. 제조단계보다 유통단계에서 일하는 사람의 숫자가 더 많다는 사실을 상기하면 유통단계에서 더 많은 가치를 생산한다는 사실이 크게 의외는 아닐 것이다. 전체 GDP에서 2차산업의 비중이 40% 정도인데 비하여 3차산업은 56%에 이르는 우리나라 산업구조도 이 점에서 일치한다.
그러나 우리가 입는 것은 결국 공장에서 생산한 옷이다. 사람들이 특정한 옷을 좋아하는 까닭은 공장에서 이 옷을 잘 만들었기 때문이지 유통단계가 많은 가치를 생산했기 때문이 아니다. 같은 옷에서 유통단계의 마진이 하락하면 하락할수록 오히려 최종 판매가격은 낮아지기 때문에 소비자로서는 더 좋다.
도요타 자동차의 물류전략은 결국 같은 품질의 자동차를 만드는데 소요되는 물류비용을 줄이는, 즉 '유통마진'을 줄이는 전략이었다. 제조 단계의 원가절감이 한계에 이르렀을 때 자연스런 다음 전략은 유통과정의 합리화다.
재고관리, 대량구매, 그리고 특성화 판매 등 유통과정을 관리하는 기술과 경영기법은 최근 들어 크게 발전하였다. 그러나 재래시장의 전통 상인들은 신 유통기술의 등장에 격렬하게 반발하고 있다. 자고로 상인들은 다른 상인들이 자신들의 시장에 침투해 오는 것을 결사적으로 저항한다. 그 결과 형성된 균형이 각자 다른 이들의 영역을 서로 존중하면서 자신의 시장을 지키는 지금의 모습이다.
유통과정은 이처럼 시장경쟁이 가장 제한된 곳이다. 농수축산물은 산지가격이 떨어져도 소매가격은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데, 그 까닭은 폐쇄된 독과점적 유통과정 때문이다. 악명 높은 권리금 관습도 이러한 유통과정의 산물이다.
새롭게 등장한 대형 할인마트와 편의점은 전근대적 유통과정에 일대 혁신을 불러오고 있다. 싼 값과 선택의 폭이 넓어진 소비자들로서는 대환영이다. 그러나 이 변화에 대한 전통 상인들의 저항이 만만치 않다. 영세상인들은 생존을 내세워 대형 할인마트 입주에 결사적으로 저항한다. 정치인들은 툭하면 재래시장에 나타나 인간미 넘치는 시장의 존속과 영세상인의 생존권 보장을 역설한다. 그러나 그 보다는 영세상인들을 규합하고 이들이 합동으로 출자하여 그 지역 대형 할인마트와 편의점 체인에 직접 참여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더 옳다.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