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23일 국무회의에서 주요정책에 관한 정부의 설득 , 특히 반대자들과의 소통 강화를 주문했다. 이 대통령은 "4대강 살리기에 대해 정치적 목적으로 반대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지만 생각을 바꾸든 안 바꾸든 우리 국민이므로 성실하게 설명하고 진실을 알려야 할 책임이 우리에게 있다"고 한 것이다. 이 대통령이 지난번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 이어 거듭 소통을 강조한 것은 국정 수행에 있어 그간 이 같은 설득노력이 부족했던 데 대한 반성으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세종시 수정, 4대강 사업 등 새 정부의 주요 사업들이 강력한 반대에 직면하고있음은 주지(周知)의 사실이다. 그것도 여당 내에서조차 의견통일이 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이 대통령은 과거 경부고속도로나 청계천 정비 사업의 예를 들어 '꼭 필요한 일이라면 반대를 무릅쓰고라도 밀어붙여야 한다'는 식으로 비쳐져 왔음은 부인하기 어렵다.

그런데 대통령의 자성론은 이제 소통을 강화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는 점에서 일단 고무적이다. 정운찬 총리가 최근 대전을 찾아 "여러분과 충분히 상의하지 않고 세종시 수정을 추진해 온 것을 사과한다"고 말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보인다.

사실 대화와 설득으로 안되는 일은 없다. 정부 여당은 지금이라도 며칠 밤을 새는 끝장 토론을 해서라도 핵심 현안에 대한 설득에 나서는 것이 필요하다.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의료개혁을 대선 공약으로 내세웠을 때만 해도 실제 그것이 가능하리라고 예상한 사람은 거의 없었다. 사회구성이 우리보다 훨씬 복잡한 미국이 해낸 일을 우리가 못해서야 되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