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보험, 車보험 경영안정화 추진 '긍정'-HMC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HMC투자증권은 24일 금융감독원의 자동차보험 경영안정화 대책 추진 발표로 자동차 보험요율 인상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손해보험업종에 대한 비중확대 투자의견을 유지했다.
금감원은 전날 자동차보험 경영안정화 종합대책을 마련해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보험업계의 자구노력뿐 아니라 자동차보험 제도 및 환경의 개선을 함께 추진해 자동차보험 누적적자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점 개선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수수료지급체계 개선 및 중고부품 재활용 등의 손보사의 보험원가 절감 유도 및 기반 조성, 불합리한 보험료 산출체계 개선 및 보험료 조정 사후감독 강화 등의 자동차보험 제도의 합리적 개선, 정비.의료수가 개선 및 선진 교통환경.의식 조성 등이 이번 대책의 주요 내용이다.
박윤영 HMC증권 애널리스트는 "실질적으로 손보사의 자보손해율 하락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방안은 불합리한 보험료 산출체계 개선과 이원화 된 의료수가의 합리적 개선"이라며 "두 방안 모두 손해율 하락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만한 긍정적인 대책"이라고 평가했다.
추진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자보요율 인상은 불가피할 것으로 박 애널리스트는 내다봤다.
그는 "과거에도 자동차보험 누적적자 해소를 위한 업계 전반의 노력이 계속됐었고 이번 대책도 실질적인 환경 개선을 통한 손해율 안정으로 이어지려면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박 애널리스트는 "이번 대책이 자동차 보험료 인상 소식처럼 손보사에게 극적인 모멘텀을 가져올 수 있는 소식은 아니겠지만 결국 안정화 대책의 추진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자동차보험 요율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손보사에 긍정적"이라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정형석 기자 chs8790@hankyung.com
금감원은 전날 자동차보험 경영안정화 종합대책을 마련해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보험업계의 자구노력뿐 아니라 자동차보험 제도 및 환경의 개선을 함께 추진해 자동차보험 누적적자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점 개선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수수료지급체계 개선 및 중고부품 재활용 등의 손보사의 보험원가 절감 유도 및 기반 조성, 불합리한 보험료 산출체계 개선 및 보험료 조정 사후감독 강화 등의 자동차보험 제도의 합리적 개선, 정비.의료수가 개선 및 선진 교통환경.의식 조성 등이 이번 대책의 주요 내용이다.
박윤영 HMC증권 애널리스트는 "실질적으로 손보사의 자보손해율 하락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방안은 불합리한 보험료 산출체계 개선과 이원화 된 의료수가의 합리적 개선"이라며 "두 방안 모두 손해율 하락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만한 긍정적인 대책"이라고 평가했다.
추진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자보요율 인상은 불가피할 것으로 박 애널리스트는 내다봤다.
그는 "과거에도 자동차보험 누적적자 해소를 위한 업계 전반의 노력이 계속됐었고 이번 대책도 실질적인 환경 개선을 통한 손해율 안정으로 이어지려면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박 애널리스트는 "이번 대책이 자동차 보험료 인상 소식처럼 손보사에게 극적인 모멘텀을 가져올 수 있는 소식은 아니겠지만 결국 안정화 대책의 추진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자동차보험 요율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손보사에 긍정적"이라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정형석 기자 chs879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