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퍼트롤] 반환점 돈 금감원 김종창號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종창 금융감독원장이 취임 2주년을 맞았다.
임기 3년의 금융감독당국 수장으로서 이제 반환점을 돌아 알찬 마무리를 준비해야 할때가 온 셈이다.
김 원장은 25일 취임 2주년을 맞아 기자간담회를 열고 그 동안의 소회를 담담히 밝혔다.
가장 이목을 집중시킨 부분은 금감원에 대한 외부 도전과 그에 따른 정신적 번민을 토로한 대목이다.
"잘해보려는 금감원의 노력을 평가해주는데 매우 인색하고, 비난이 많았던 분위기 속에서 직무를 수행해 나가는 것이 가장 힘든 일이었다"
현장에서는 마치 중도에 이임하는 기관장이 그동안의 짐을 훌훌 벗어버리고 와신상담하겠다는 뜻을 전하는 것 같은 뉘앙스여서 의아해하는 분위기였다.
리먼 브러더스 파산사태 등으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거세게 불어닥칠때 기업구조조정과 은행 건전성 확보라는 어려운 과제를 슬기롭게 헤처나간 공도 분명 있다.
하지만 끊임없이 이어진 금융위원회와의 불협화음과 이에 따른 자기 확신의 부족은 지금도 지적되고 있다.
지난 2년 동안 언론사 대표의 주식 시세조종 행위 조사에 대해 금감원의 소극적 대응을 질타하는 여론도 드셌고, 국민은행 감사와 관련해 관치금융의 부활이라는 따가운 비난도 쏟아졌다.
국민은행 감사과정에서 피감대상 간부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을 두고 뒷말이 무성한 것도 감독원에 대한 외부 시선이 여전히 곱지만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사례다.
그래서 이날 위기가 진정되는 듯 하자 금융회사들이 감독기구의 태생적 속성 때문에 불가피한 불평과 불만을 한꺼번에 쏟아내 안타깝다는 김 원장의 말에 쉽게 동의할 수 없다.
금융소비자를 살펴야 하는 감독기관이 감독대상인 금융사의 대변인이라는 눈총을 받는 일도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아직도 요원한 금융소비자 관련 정책 미비 등은 금감원이 풀어내야 할 숙제로 남아있다.
역대 금감원장 중 3년 임기를 다 채운 인물은 지난 2004년부터 2007년 8월까지 제 5대 금감원장을 지낸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유일하다.
김 원장이 외부 지적에 얼마만큼 귀를 기울이고 소신을 갖고 남은 임기 1년을 대과 없이 완주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한경닷컴 변관열 기자 bky@hankyung.com
임기 3년의 금융감독당국 수장으로서 이제 반환점을 돌아 알찬 마무리를 준비해야 할때가 온 셈이다.
김 원장은 25일 취임 2주년을 맞아 기자간담회를 열고 그 동안의 소회를 담담히 밝혔다.
가장 이목을 집중시킨 부분은 금감원에 대한 외부 도전과 그에 따른 정신적 번민을 토로한 대목이다.
"잘해보려는 금감원의 노력을 평가해주는데 매우 인색하고, 비난이 많았던 분위기 속에서 직무를 수행해 나가는 것이 가장 힘든 일이었다"
현장에서는 마치 중도에 이임하는 기관장이 그동안의 짐을 훌훌 벗어버리고 와신상담하겠다는 뜻을 전하는 것 같은 뉘앙스여서 의아해하는 분위기였다.
리먼 브러더스 파산사태 등으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거세게 불어닥칠때 기업구조조정과 은행 건전성 확보라는 어려운 과제를 슬기롭게 헤처나간 공도 분명 있다.
하지만 끊임없이 이어진 금융위원회와의 불협화음과 이에 따른 자기 확신의 부족은 지금도 지적되고 있다.
지난 2년 동안 언론사 대표의 주식 시세조종 행위 조사에 대해 금감원의 소극적 대응을 질타하는 여론도 드셌고, 국민은행 감사와 관련해 관치금융의 부활이라는 따가운 비난도 쏟아졌다.
국민은행 감사과정에서 피감대상 간부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을 두고 뒷말이 무성한 것도 감독원에 대한 외부 시선이 여전히 곱지만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사례다.
그래서 이날 위기가 진정되는 듯 하자 금융회사들이 감독기구의 태생적 속성 때문에 불가피한 불평과 불만을 한꺼번에 쏟아내 안타깝다는 김 원장의 말에 쉽게 동의할 수 없다.
금융소비자를 살펴야 하는 감독기관이 감독대상인 금융사의 대변인이라는 눈총을 받는 일도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아직도 요원한 금융소비자 관련 정책 미비 등은 금감원이 풀어내야 할 숙제로 남아있다.
역대 금감원장 중 3년 임기를 다 채운 인물은 지난 2004년부터 2007년 8월까지 제 5대 금감원장을 지낸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유일하다.
김 원장이 외부 지적에 얼마만큼 귀를 기울이고 소신을 갖고 남은 임기 1년을 대과 없이 완주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한경닷컴 변관열 기자 b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