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초계함 침몰] 또 '도마'에 오른 위기대응시스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해군, 실종자 구조 늑장대응 논란
천안함 침몰 사고를 놓고 군 당국의 위기 관리 대응 시스템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사고 발생 직후 실종자 구조 활동도 해경이 주도,군은 모든 게 한발짝 늦게 대응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련 인사 문책론까지 대두되고 있다.
군 발표에 따르면 사고 발생시간은 26일 오후 9시45분.사고 발생 3시간이 지나 장병 104명 중 58명이 구조됐고 46명이 실종됐다는 사실과 함께 선채가 완전히 침몰됐다는 게 확인됐다.
그럼에도 천안함의 정확한 위치를 판별할 수 있는 군함인 옹진함과 양양함이 진해에서 현장으로 출발한 시간은 28일이고 본격 활동에 들어간 시간은 이날 오후 10시31분께다. 사고 발생 이틀이 지나서다. 그나마 실종자들이 모여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천안함 함미 위치를 식별하는 과정에서 결정적인 단서를 찾아낸 것은 군함이 아닌 어선이었다. 군 관계자는 29일 "전날 오후 4시20분께 침몰 해상에서 탐색 · 구조작업을 지원하던 어선 3척 가운데 1척의 어군탐지기에 이상 물체가 탐지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는 "어군탐지기에는 물체가 있다는 형상이 점으로만 나타날 뿐 음파탐지기로 30여m 크기 등을 구체적으로 식별할 수 있었다"며 "구조작업을 돕던 어선들의 도움으로 함미 위치를 더욱 빨리 찾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결국 어선들이 해군에 연락해 현장에 도착한 옹진함이 음파탐지기로 함미를 정확하게 식별했다.
천안함 선체를 인양하기 위한 크레인은 29일 오후 2시께 경남 거제에서 출발했다. 3척의 예인선이 크레인을 끌고 연안을 따라 항해하게 되며 약 4~6일 후에 현장에 도착할 예정이다. 물론 민간 크레인을 물색하다가 시간이 걸렸다는 게 군 당국의 해명이지만 실종자들이 밀폐된 함내 공간에 최대 69시간 생존이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감안하면 대응이 늦어도 한참 늦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사고 상황을 진두지휘할 아시아 최대 수송함인 독도함(1만4000t급)을 사고 현장에 긴급 투입한 것도 사고 발생 이틀이 지난 28일 밤이다. 기뢰탐지함 6척을 분산 배치하지 않고 진해 한곳에 모아둔 것도 늑장대응의 한 요인이 됐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
군 발표에 따르면 사고 발생시간은 26일 오후 9시45분.사고 발생 3시간이 지나 장병 104명 중 58명이 구조됐고 46명이 실종됐다는 사실과 함께 선채가 완전히 침몰됐다는 게 확인됐다.
그럼에도 천안함의 정확한 위치를 판별할 수 있는 군함인 옹진함과 양양함이 진해에서 현장으로 출발한 시간은 28일이고 본격 활동에 들어간 시간은 이날 오후 10시31분께다. 사고 발생 이틀이 지나서다. 그나마 실종자들이 모여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천안함 함미 위치를 식별하는 과정에서 결정적인 단서를 찾아낸 것은 군함이 아닌 어선이었다. 군 관계자는 29일 "전날 오후 4시20분께 침몰 해상에서 탐색 · 구조작업을 지원하던 어선 3척 가운데 1척의 어군탐지기에 이상 물체가 탐지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는 "어군탐지기에는 물체가 있다는 형상이 점으로만 나타날 뿐 음파탐지기로 30여m 크기 등을 구체적으로 식별할 수 있었다"며 "구조작업을 돕던 어선들의 도움으로 함미 위치를 더욱 빨리 찾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결국 어선들이 해군에 연락해 현장에 도착한 옹진함이 음파탐지기로 함미를 정확하게 식별했다.
천안함 선체를 인양하기 위한 크레인은 29일 오후 2시께 경남 거제에서 출발했다. 3척의 예인선이 크레인을 끌고 연안을 따라 항해하게 되며 약 4~6일 후에 현장에 도착할 예정이다. 물론 민간 크레인을 물색하다가 시간이 걸렸다는 게 군 당국의 해명이지만 실종자들이 밀폐된 함내 공간에 최대 69시간 생존이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감안하면 대응이 늦어도 한참 늦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사고 상황을 진두지휘할 아시아 최대 수송함인 독도함(1만4000t급)을 사고 현장에 긴급 투입한 것도 사고 발생 이틀이 지난 28일 밤이다. 기뢰탐지함 6척을 분산 배치하지 않고 진해 한곳에 모아둔 것도 늑장대응의 한 요인이 됐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