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팩 판매에만 열심인 금융사도 문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어리숙한 투자자를 상대로 투기적 투자자들이 만들어낸 비이성적 과열이다"
김갑래 자본시장연구위원은 30일 '자본시장 위클리'에서 스팩(SPACㆍ기업인수목적회사)에 대한 최근의 투자 열기를 이렇게 비유했다.
김 연구위원은 "어느정도 진정세를 보이긴 했지만 지금도 스팩은 고평가 상태"라며 "이는 개인투자자들이 스팩 투자에 오해와 환상을 갖고 접근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투자자들이 가장 오해하는 부분으로 투자금 반환 부분을 꼽았다. 스팩이 기업 인수에 실패했을 때는 매입가가 아니라 공모가를 기준으로 투자금을 반환하는데, 많은 사람들이 이를 제대로 알지 못한다는 것이다.
김 연구위원은 "스팩은 3년 이내에 우량기업을 인수해 이익을 얻는 중장기 투자처"라며 "중장기 투자금의 여력이 없는 단기투자 성향의 개인에게 스팩 투자를 권유하는 행위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증권사와 은행의 최근 투자권유 행태에도 일침을 가했다.
그는 "스팩의 주가가 급등하면 실질적인 기업가치인 순자산가치와 상장 프리미엄에는 변동 없이 형식적 기업가치인 시가총액만 늘어난다"며 "스팩의 인수대상 기업 입장에선 버블이 있는 스팩과 합병할 경우 합병비율 산정 시 손해를 보게 돼 합병을 꺼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고평가된 스팩은 합병 매력이 떨어지게 되고, 스팩의 경영진은 경쟁력과 협상력을 잃는다"고 덧붙였다. 주가가 오르면 오히려 합병 매력이 떨어지는 이러한 점이 바로 '스팩의 패러독스(역설)'라는 얘기다.
김 연구위원은 "최근 급등한 스팩은 투기적 수요가 사라지면 거품이 꺼질 것이고 결국 공모가 수준으로 회귀하려 할 것"이라며 "이 경우 고가에 추격매수한 개인투자자들의 피해가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그는 "지금 같이 개인투자자 위주의 증시에서는 스팩이 아닌 다른 금융신상품이 출시됐을 때도 개인투자자들의 투기적 거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며 "따라서 장기적으로 국내 주식시장의 기반이 기관투자자 중심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근본적 대책도 제시했다.
김 연구위원은 "한국의 금융투자사들도 단기 자금조달이 용이하다는 이유로 개인투자자들의 입맛에 맞는 소규모 스팩만 양산할 게 아니라 기관투자자들에 어필할 수있는 새로운 사업모델을 가진 대형화, 전문화된 스팩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경닷컴 정인지 기자 injee@
김갑래 자본시장연구위원은 30일 '자본시장 위클리'에서 스팩(SPACㆍ기업인수목적회사)에 대한 최근의 투자 열기를 이렇게 비유했다.
김 연구위원은 "어느정도 진정세를 보이긴 했지만 지금도 스팩은 고평가 상태"라며 "이는 개인투자자들이 스팩 투자에 오해와 환상을 갖고 접근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투자자들이 가장 오해하는 부분으로 투자금 반환 부분을 꼽았다. 스팩이 기업 인수에 실패했을 때는 매입가가 아니라 공모가를 기준으로 투자금을 반환하는데, 많은 사람들이 이를 제대로 알지 못한다는 것이다.
김 연구위원은 "스팩은 3년 이내에 우량기업을 인수해 이익을 얻는 중장기 투자처"라며 "중장기 투자금의 여력이 없는 단기투자 성향의 개인에게 스팩 투자를 권유하는 행위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증권사와 은행의 최근 투자권유 행태에도 일침을 가했다.
그는 "스팩의 주가가 급등하면 실질적인 기업가치인 순자산가치와 상장 프리미엄에는 변동 없이 형식적 기업가치인 시가총액만 늘어난다"며 "스팩의 인수대상 기업 입장에선 버블이 있는 스팩과 합병할 경우 합병비율 산정 시 손해를 보게 돼 합병을 꺼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고평가된 스팩은 합병 매력이 떨어지게 되고, 스팩의 경영진은 경쟁력과 협상력을 잃는다"고 덧붙였다. 주가가 오르면 오히려 합병 매력이 떨어지는 이러한 점이 바로 '스팩의 패러독스(역설)'라는 얘기다.
김 연구위원은 "최근 급등한 스팩은 투기적 수요가 사라지면 거품이 꺼질 것이고 결국 공모가 수준으로 회귀하려 할 것"이라며 "이 경우 고가에 추격매수한 개인투자자들의 피해가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그는 "지금 같이 개인투자자 위주의 증시에서는 스팩이 아닌 다른 금융신상품이 출시됐을 때도 개인투자자들의 투기적 거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며 "따라서 장기적으로 국내 주식시장의 기반이 기관투자자 중심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근본적 대책도 제시했다.
김 연구위원은 "한국의 금융투자사들도 단기 자금조달이 용이하다는 이유로 개인투자자들의 입맛에 맞는 소규모 스팩만 양산할 게 아니라 기관투자자들에 어필할 수있는 새로운 사업모델을 가진 대형화, 전문화된 스팩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경닷컴 정인지 기자 inj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