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그냥 참지말고, 몸상태 체크해야"

연세SK병원 웰빙클리닉은 서울에 사는 20~30대 남녀 직장인 169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60.9%(103명)에서 1개월 이상 피로가 누적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특히 6개월 이상 피로감이 계속돼 `만성피로증후군'으로 의심해 볼 수 있는 응답도 25.4%(43명)나 됐다고 병원 측은 덧붙였다.

또 설문대상자 중 절반이 넘는 58%(98명)는 두통과 근육통, 관절통, 기타 전신통증을 앓고 있었으며, 전체의 43.2%(73명)은 피로에 따른 업무능력 저하를 호소하기도 했다.

상황이 이런데도 상당수 직장인은 피로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일회성에 그쳤다는 게 의료진의 분석이다.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7.4%(97명)는 피로할 때 `그냥 참거나 쉰다'고 답했으며, '운동이나 취미생활을 한다'는 답변은 20.1%(34명)에 머물렀다.

적극적 대책으로 `병원을 찾거나 약을 처방받는다'는 응답도 27.8%(49명)에 그쳤다.

피로의 원인으로는 `과중한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33.7%)가 가장 많았으며, 이어 '운동부족'(31.4%), '원인 불명'(17.8%), '잦은 음주'(8.3%), '지병'(5.9%) 등의 순이었다.

의료진은 피로가 계속되면 혈액검사나 염증수치검사, 소변검사, 혈당검사, 갑상선기능검사, 정신과적 질환검사 등을 통해 몸 상태를 체크한 후 원인질환이 발견되지 않았다면 전자체액분석방법(ECS)이나 타액호르몬검사(SHA)를 통해 영양상태와 호르몬 불균형 상태를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전문가들은 다음 10가지 증상 중 5가지 이상이 1개월 이상 지속됐다면 만성피로증후군을 의심해봐야 한다고 지적한다.

△충분이 쉬어도 여전히 피곤하다.

△잠을 자고 일어나도 상쾌하지 않고 어깨가 무겁게 느껴진다.

△피로 때문에 업무능률이 떨어진다.

△기억력이나 집중력도 떨어지는 것 같다.

△목 안이나 목 주변, 겨드랑이 부위가 이유 없이 아프다.

△특별한 외상이 없었는데 근육이나 관절부위가 수시로 아프다.

△가끔씩 원인을 알 수 없는 두통 때문에 고생한다.

△운동을 하면 하루 이상 심한 피로감이 계속된다.

△예전보다 이유 없이 식욕이 떨어졌다.

△얼굴에 기미가 생기거나 푸석푸석하다

이 병원 웰빙클리닉 윤민선 과장은 "일반적으로 피로를 질병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드물어 방치하기 쉽지만, 피로가 만성화될 경우 업무는 물론 일상생활에도 지장을 줄 수 있다'면서 "휴식을 취해도 피로가 쉽게 풀리지 않는다면 건강상태를 전반적으로 점검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bi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