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의 의제와 일정 조율권을 갖고 있는 스티어링그룹(운영그룹) 5개국 정상이 어제 기존의 합의사항 준수를 촉구하는 공동서한을 발표했다. 5개국은 미국 영국 캐나다 한국 프랑스 등이다.
이들 5개국 정상은 공동서한에서 거시경제정책 공조와 국제금융시스템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규제개혁 등 지난해 피츠버그 정상회의 합의사항을 흔들림없이 실천할 것을 G20에 촉구(促求)했다. 오는 11월 우리나라에서 정상회의가 열리는 것을 감안할 때, 세계경제회복을 위한 정상들의 공통된 의지와 협력이 회의의 성공을 이끌어내기 위한 열쇠라는 점에서 시의적절한 입장표명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지금 G20 회원국들 간에 합의사항 이행을 놓고 이견을 보이거나 대립하는 상황은 아니지만 글로벌 경제가 위기의 터널을 빠져나오면서 국가별로는 다른 정책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그렇다. 세계경제의 회복세가 확고해질 때까지는 주요국의 지속적인 정책대응이 필요하고 특정국가의 출구전략이 교역상대국에 타격을 주지 않도록 일정 수준의 협조가 무엇보다 절실한 데도 자국이기주의 앞에서 언제 이런 협력체제가 깨질지 모르기 때문이다. 그리스 재정위기에서 보듯 세계경제를 위협하는 불안요인이 여전하다는 점에서 당초 약속한 공동조치가 상당기간 계속돼야 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특히 자국 경제의 회복에만 집착해 보호무역조치를 강화하는 국가가 나올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위안화 절상 문제를 놓고 미국과 중국이 벌이는 신경전이 우려스런 것도 글로벌 경제의 균형성장을 어렵게 만들 소지가 큰 까닭에서다. 무너진 금융시스템을 복원하기 위한 은행의 자본과 유동성 확충,장외 파생상품에 대한 위험통제 등 금융규제개혁 역시 국가 간의 특수한 사정보다는 글로벌 금융시장안정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오는 6월 캐나다 정상회의에서 지속가능한 성장의 토대를 마련, 11월 서울 정상회의에서 구체적인 정책 권고를 내놓기 위해서는 정상들의 공동대응 의지가 그 어느 때보다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