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정책공조 인식 완전 일치"…金 "역할 다르지만 협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윤증현 재정-김중수 총재 회동
민감 사안 토론없이 화기애애, G20회의 대비 주요의제 논의
"재정부 열석발언권은 계속 행사"
민감 사안 토론없이 화기애애, G20회의 대비 주요의제 논의
"재정부 열석발언권은 계속 행사"
5일 오전 7시26분.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김중수 신임 한국은행 총재와 만나기로 한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 먼저 모습을 드러냈다. 그는 "전반적인 경제상황과 정책공조를 어떻게 할지 논의하기 위해 왔다"고 첫마디를 꺼냈다. 재정부 차관의 열석발언권(금융통화위원회에서 참석해 발언하는 것)을 묻는 질문엔 "앞으로도 계속 행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 장관은 3분가량 후에 도착한 김 총재와 반갑게 악수하고 카메라를 위해 한동안 포즈를 취한 뒤 자리를 권하는 등 친밀감을 표시했다. 재정부와 한은의 '공조 시대'가 열리는 순간이었다.
◆"정책 공조에 완전한 인식 공유"
윤 장관은 이날 오전 9시께 비공개 간담회가 끝난 뒤 기다리고 있던 기자들에게 "김 총재는 전문성과 도덕성을 겸비한 훌륭한 인격의 소유자로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대사 경험도 갖고 있다"며 "경제 성장,거시 전망에 대해 많은 얘기를 들었고 경제 협조 등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논의를 했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재정부와 중앙은행이 공조를 잘해서 경제가 잘 굴러가도록 완전히 인식을 같이했다"고 덧붙였다.
김 총재는 "재정부와 한은의 역할은 다르지만 협력을 통해 국가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화답했다.
김 총재는 첫 대외 공식 일정으로 윤 장관을 만난 이유에 대해선 "특별한 건 없다"며 이날 회동 의미에 대한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재정부 관계자들도 "구체적인 정책 현안을 논의하기보다는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대화하는 자리였다"고 말했다. 실제 기준금리 인상 등 출구전략,원 · 달러 환율 등 외환정책,한국은행법 개정 등 한은 역할 재정립 문제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해선 토론 자체가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간담회 후 기자브리핑을 진행한 윤종원 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은 "거시경제 상황과 관련해 실무자 간 논의가 많이 있었으며 G20(주요20개국)의장국으로서 한국이 주도권을 잡고 의제로 삼을 방안 등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고 전했다.
◆한은 "경제성장률 상향 조정"
이날 간담회에서 이상우 한은 조사국장은 "지난 1분기나 올 한 해 경제성장률이 당초 한은이 전망했던 수준보다 좋게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경제동향을 설명했다. 한은은 올해 경제성장률을 4.6%,상반기 성장률을 5.9%(전년동기 대비)로 지난해 12월 전망했다. 당시 한은은 정부가 제시한 5% 안팎이 '다소 낙관적인 수준'이라고 평가한 바 있다.
장병화 한은 부총재보는 이날 간담회가 끝난 뒤 기자설명회에서 "지난 2월 실물경제 지표들이 예상보다 좋게 나왔고 한은의 당초 전망치보다 좋아지지 않겠나 하는 얘기가 나왔다"고 전했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광공업생산은 지난 1월 36.9% 증가(전년동기 대비)한 데 이어 2월에도 19.1% 늘었고 공장가동률도 2월 80%대로 높아졌다. 수출도 견조하고 서비스업 생산이 2월 증가세로 돌아서는 등 내수소비도 괜찮아 경기 회복세가 꺾일 가능성이 낮다는 게 한은의 판단이다. 한은은 오는 12일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한 경제전망을 발표할 계획이다.
성장률이 상향 조정된다 하더라도 당장 기준금리 인상은 없을 것이란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윤 장관이 출구전략은 상반기 중이 시기상조라는 생각을 갖고 있는데,김 총재가 정부와 정책조화를 이루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일각에선 오는 6월께 기준금리가 인상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예측을 내놓고 있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금리 인상을 주장하고 있는 데다 성장률이 높게 나오면 현재 연 2.0%인 기준금리가 지나치게 낮은 수준이란 지적이 힘을 얻을 수 있어서다.
박준동/유승호 기자 jdpower@hankyung.com
◆"정책 공조에 완전한 인식 공유"
윤 장관은 이날 오전 9시께 비공개 간담회가 끝난 뒤 기다리고 있던 기자들에게 "김 총재는 전문성과 도덕성을 겸비한 훌륭한 인격의 소유자로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대사 경험도 갖고 있다"며 "경제 성장,거시 전망에 대해 많은 얘기를 들었고 경제 협조 등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논의를 했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재정부와 중앙은행이 공조를 잘해서 경제가 잘 굴러가도록 완전히 인식을 같이했다"고 덧붙였다.
김 총재는 "재정부와 한은의 역할은 다르지만 협력을 통해 국가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화답했다.
김 총재는 첫 대외 공식 일정으로 윤 장관을 만난 이유에 대해선 "특별한 건 없다"며 이날 회동 의미에 대한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재정부 관계자들도 "구체적인 정책 현안을 논의하기보다는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대화하는 자리였다"고 말했다. 실제 기준금리 인상 등 출구전략,원 · 달러 환율 등 외환정책,한국은행법 개정 등 한은 역할 재정립 문제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해선 토론 자체가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간담회 후 기자브리핑을 진행한 윤종원 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은 "거시경제 상황과 관련해 실무자 간 논의가 많이 있었으며 G20(주요20개국)의장국으로서 한국이 주도권을 잡고 의제로 삼을 방안 등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고 전했다.
◆한은 "경제성장률 상향 조정"
이날 간담회에서 이상우 한은 조사국장은 "지난 1분기나 올 한 해 경제성장률이 당초 한은이 전망했던 수준보다 좋게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경제동향을 설명했다. 한은은 올해 경제성장률을 4.6%,상반기 성장률을 5.9%(전년동기 대비)로 지난해 12월 전망했다. 당시 한은은 정부가 제시한 5% 안팎이 '다소 낙관적인 수준'이라고 평가한 바 있다.
장병화 한은 부총재보는 이날 간담회가 끝난 뒤 기자설명회에서 "지난 2월 실물경제 지표들이 예상보다 좋게 나왔고 한은의 당초 전망치보다 좋아지지 않겠나 하는 얘기가 나왔다"고 전했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광공업생산은 지난 1월 36.9% 증가(전년동기 대비)한 데 이어 2월에도 19.1% 늘었고 공장가동률도 2월 80%대로 높아졌다. 수출도 견조하고 서비스업 생산이 2월 증가세로 돌아서는 등 내수소비도 괜찮아 경기 회복세가 꺾일 가능성이 낮다는 게 한은의 판단이다. 한은은 오는 12일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한 경제전망을 발표할 계획이다.
성장률이 상향 조정된다 하더라도 당장 기준금리 인상은 없을 것이란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윤 장관이 출구전략은 상반기 중이 시기상조라는 생각을 갖고 있는데,김 총재가 정부와 정책조화를 이루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일각에선 오는 6월께 기준금리가 인상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예측을 내놓고 있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금리 인상을 주장하고 있는 데다 성장률이 높게 나오면 현재 연 2.0%인 기준금리가 지나치게 낮은 수준이란 지적이 힘을 얻을 수 있어서다.
박준동/유승호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