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피털ㆍ개인투자 외면…새내기 벤처, 기댈 곳이 없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투자심사때 양산규모까지 따져
세제혜택 줄면서 엔젤투자 '뚝'
정부 창업센터 지우너도 태부족
세제혜택 줄면서 엔젤투자 '뚝'
정부 창업센터 지우너도 태부족
텔레비트는 2004년 연암기술대 학생들이 창업 동아리 형태로 창업한 회사다. 모바일 기술을 이용한 동영상 원격제어 시스템을 자체 개발해 주목받았다. '2004 대한민국 창업대전'에선 전국의 신생 벤처들을 제치고 당당히 1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텔레비트에 투자하겠다고 나선 외부 투자자는 한곳도 없었다. 심지어 정부의 정책자금도 한푼 받지 못했다. 혜택이라고는 모교인 연암기술대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할 수 있었던 것이 전부다. 권성갑 지도교수는 "시제품을 내놓고 시장도 어느 정도 개척하는 등 성장 단계에 접어들자 작년부터 해외 벤처기업과 국내 대기업들의 제휴 제안이 들어오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중소기업청과 벤처캐피털협회는 벤처캐피털 업체들과 신생 기업을 연결시켜주고 투자 심사를 받도록 하는 벤처기업 사랑방제도를 만들었다. 시행 첫해 41개 기업이 신청해 심사를 받았지만 실제 투자가 이뤄진 업체는 한곳도 없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P사 대표는 "(벤처캐피털들이) 제품 생산 규모나 고객 확보 상황 등을 까다롭게 따져 답할 게 별로 없었다"며 "그렇게 안정적으로 영업 기반이 갖춰진 상황이라면 왜 투자를 받아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텔레비트와 P사는 2000년대 중반 이후 의지할 곳 없는 국내 신생 벤처기업들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례다.
11일 중기청에 따르면 설립 3년 미만의 신생 벤처기업에 대한 올해 벤처캐피털의 투자 비중은 1,2월 현재 20.2%로 국내에 벤처캐피털이 도입된 이후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다. 2001년에는 전체 벤처투자금액 8913억원의 72.4%인 6453억원이 설립 3년 미만의 초기 기업에 투자됐었다. 하지만 이 비중은 이후 계속 줄어 2008년 40.1%(2980억원),지난해에는 28.6%(2476억원)까지 감소했다. 벤처캐피털 업체들이 신생 기업 투자를 통한 고위험,고수익 전략에서 벗어나 비교적 성장성이 보장된 기업이나 기업공개를 앞둔 기업(프리IPO)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벤처캐피털뿐만이 아니다. 엔젤투자(개인의 벤처 투자)는 아예 맥이 끊겼다. 1990년대 말 벤처붐 당시 수백곳에 달하던 개인투자조합은 지난해 단 한곳 결성됐고 올해는 아직까지 감감무소식이다. 아이디어와 꿈만 갖고 외부 투자를 받는 것은 이제 옛말이 됐다. 벤처캐피털협회 관계자는 "과거 벤처붐 당시 투자 손실에 따른 나쁜 기억이 여전히 남아 있는 데다 정부의 세제 혜택도 한시적이어서 개인들이 엔젤투자를 외면하고 있다"며 "벤처캐피털들도 개인투자자 참여가 없어 아예 법인 위주로 펀드를 결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엔젤투자자에게 출자금액의 10%를 소득공제해 주고 있지만 올해까지만 적용된다.
정부의 신생 벤처기업 지원책도 기대에 못 미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신생 벤처들의 요람 역할을 하는 창업보육센터는 1999년 29곳을 시작으로 2005년에는 309곳까지 증가했다가 이후 감소세로 돌아섰다. 현재 279곳이 운영 중이다. 정부의 창업보육센터 지정 요건이 까다로워지고 사업주에 대한 지원 혜택도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올해의 경우 48곳이 창업보육센터로 지정해달라고 요청했지만 20곳만 지정받았다. 창업보육센터 입주 기업에 지원되는 창업보육기술개발사업은 지난해 92개 기업에 100억원가량이 지원됐지만 올해는 40여개 기업에 50억원 정도만 지원된다.
신생 벤처기업 담당자들은 '아이디어창업화 지원사업''창업기업 투자보조금' 등 정부의 신생 기업 정책자금도 턱없이 부족하다고 토로하고 있다. 그나마도 대부분 지원이 제조업에 집중되다 보니 소프트웨어,지식서비스,문화콘텐츠 등의 신성장 분야 벤처기업은 외면받는 실정이다. 중기청의 대표적 신생 기업 지원자금인 아이디어창업화 지원사업은 지난해 지원액 275억원 중 비제조업 부문 지원액이 30억원에 불과했다. 비수도권지역 신생 기업에 지원하는 창업기업 투자보조금 1000억원도 제조업체만을 대상으로 집행되고 있다.
고경봉 기자 kgb@hankyung.com
지난해 중소기업청과 벤처캐피털협회는 벤처캐피털 업체들과 신생 기업을 연결시켜주고 투자 심사를 받도록 하는 벤처기업 사랑방제도를 만들었다. 시행 첫해 41개 기업이 신청해 심사를 받았지만 실제 투자가 이뤄진 업체는 한곳도 없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P사 대표는 "(벤처캐피털들이) 제품 생산 규모나 고객 확보 상황 등을 까다롭게 따져 답할 게 별로 없었다"며 "그렇게 안정적으로 영업 기반이 갖춰진 상황이라면 왜 투자를 받아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텔레비트와 P사는 2000년대 중반 이후 의지할 곳 없는 국내 신생 벤처기업들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례다.
11일 중기청에 따르면 설립 3년 미만의 신생 벤처기업에 대한 올해 벤처캐피털의 투자 비중은 1,2월 현재 20.2%로 국내에 벤처캐피털이 도입된 이후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다. 2001년에는 전체 벤처투자금액 8913억원의 72.4%인 6453억원이 설립 3년 미만의 초기 기업에 투자됐었다. 하지만 이 비중은 이후 계속 줄어 2008년 40.1%(2980억원),지난해에는 28.6%(2476억원)까지 감소했다. 벤처캐피털 업체들이 신생 기업 투자를 통한 고위험,고수익 전략에서 벗어나 비교적 성장성이 보장된 기업이나 기업공개를 앞둔 기업(프리IPO)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벤처캐피털뿐만이 아니다. 엔젤투자(개인의 벤처 투자)는 아예 맥이 끊겼다. 1990년대 말 벤처붐 당시 수백곳에 달하던 개인투자조합은 지난해 단 한곳 결성됐고 올해는 아직까지 감감무소식이다. 아이디어와 꿈만 갖고 외부 투자를 받는 것은 이제 옛말이 됐다. 벤처캐피털협회 관계자는 "과거 벤처붐 당시 투자 손실에 따른 나쁜 기억이 여전히 남아 있는 데다 정부의 세제 혜택도 한시적이어서 개인들이 엔젤투자를 외면하고 있다"며 "벤처캐피털들도 개인투자자 참여가 없어 아예 법인 위주로 펀드를 결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엔젤투자자에게 출자금액의 10%를 소득공제해 주고 있지만 올해까지만 적용된다.
정부의 신생 벤처기업 지원책도 기대에 못 미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신생 벤처들의 요람 역할을 하는 창업보육센터는 1999년 29곳을 시작으로 2005년에는 309곳까지 증가했다가 이후 감소세로 돌아섰다. 현재 279곳이 운영 중이다. 정부의 창업보육센터 지정 요건이 까다로워지고 사업주에 대한 지원 혜택도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올해의 경우 48곳이 창업보육센터로 지정해달라고 요청했지만 20곳만 지정받았다. 창업보육센터 입주 기업에 지원되는 창업보육기술개발사업은 지난해 92개 기업에 100억원가량이 지원됐지만 올해는 40여개 기업에 50억원 정도만 지원된다.
신생 벤처기업 담당자들은 '아이디어창업화 지원사업''창업기업 투자보조금' 등 정부의 신생 기업 정책자금도 턱없이 부족하다고 토로하고 있다. 그나마도 대부분 지원이 제조업에 집중되다 보니 소프트웨어,지식서비스,문화콘텐츠 등의 신성장 분야 벤처기업은 외면받는 실정이다. 중기청의 대표적 신생 기업 지원자금인 아이디어창업화 지원사업은 지난해 지원액 275억원 중 비제조업 부문 지원액이 30억원에 불과했다. 비수도권지역 신생 기업에 지원하는 창업기업 투자보조금 1000억원도 제조업체만을 대상으로 집행되고 있다.
고경봉 기자 kg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