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닷컴] 단독주택 밀집지역을 보전하면서 아파트의 장점인 주민복리시설과 관리시스템을 보완하는 방식의 신 개념 저층주거지인 ‘서울휴먼타운’이 조성된다.

서울시는 아파트 위주의 획일적인 개발을 탈피하고 저층주거지의 환경을 개선해 보존하는 ‘서울휴먼타운’을 조성한다고 13일 발표했다.

‘서울휴먼타운’은 보안·방범과 편의시설이 잘 갖춰진 아파트의 장점과 골목길과 커뮤니티가 살아있는 저층주택의 장점을 통합한 것으로,무분별한 재개발로 인한 저층주거지의 멸실을 줄이고 주거유형을 다양화하기 위해 도입하는 새로운 정비사업의 유형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도정법)’에 ‘주거환경관리사업’을 신설하는 내용을 국토해양부에 건의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서울휴먼타운에 CCTV,보안등,경비소 등을 설치하고 자체방범조직을 지원해 저층주거지의 단점으로 손꼽혔던 보안·방범을 강화하고 경로당,어린이집 등 주민복리시설과 생활편의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또 주민대표회의를 구성해 지역 커뮤니티를 강화하고 복리시설·도로 등 시설물을 관리키로 했다.

이를 위해 시는 관리비·리모델링 비용을 빌려주고 에너지성능개선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주거환경관리사업은 10만㎡ 안팎의 다세대·다가구 밀집지역과 5만㎡ 안팎의 단독주택 밀집지역 등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눠 적용된다.서울시는 상반기 중 시범사업 대상지 선정과 법제도 개선에 착수해 하반기부터 사업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시범사업지로는 △성북구 성북동 300 일대(4만5781㎡·107동) △강북구 인수동 532-55일대(4만3475㎡·85동) △강동구 암사동 102-4 일대(3만1043㎡·63동) 등 3곳이 선정됐다.

서울휴먼타운의 조성은 구청장이 주거환경관리사업 계획을 수립한 후 주민대표회의를 구성하고,구청장과 주민대표회의 등이 상호협의를 거쳐 추진된다.사업 완료 후에는 주거지관리규약과 주택지 지원관리 조례에 따라 주민들이 이를 직접 유지·관리하도록 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도시의 역사·문화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필요한 곳,낡은 부분만 정비해나가는 소단위 맞춤형 개발의 신호탄이 될 것”이라며 “저층주거지의 주거환경 개선을 통해 시민들의 불안과 불편을 해소하겠다”고 말했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