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라증권이 한국 경제가 1980년대 버블 형성기 때의 일본과 놀라울 정도로 유사하다는 분석을 내놔 관심을 끈다. 이 회사는 지난 12일 발표한 '한국경제 보고서'를 통해 지금의 경제 환경은 물론 정책 의제와 중앙은행의 의사결정 구조까지 1980년대 일본과 닮은 꼴이라고 지적했다.

흘려듣기 어려운 충고다. 한국경제 상황이 당시 일본과 유사한 측면이 적지 않은 게 사실이고, 자칫 잘못 대응하면 일본처럼 장기 불황에 빠져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까닭이다. 노무라는 80년대 후반의 일본은 저금리 기조가 장기간 유지되는 가운데 물가도 안정세를 보였지만 이 때 풀린 돈이 거품을 만들고, 장기 불황의 원인이 됐다고 강조했다. 지금의 한국도 저금리 장기화, 물가안정 등의 측면에서 다를 게 없다는 것이다. 중앙은행 총재가 국제 공조를 중시하는 인물이라는 점도 판박이라고 한다. 특히 국내 부동산 가격이 지나치게 고평가돼 있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는 형편이어서 경각심을 갖게 만들기에 충분하다.

물론 당시 일본과 지금의 한국 상황이 일치한다고 보기 힘든 것도 사실이다. 한국의 경우 담보인정비율(LTV)이나 총부채상환비율(DTI) 등의 규제를 통해 주택담보대출을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어 일본식 거품 붕괴가 나타날 가능성은 그만큼 낮다. 또 한국의 은행과 기업들이 외환위기 등을 계기로 엄격한 구조조정을 거친 것도 당시 일본과는 다른 점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마음을 놓을 수 있는 상황도 아니다. 지금의 경기 회복세를 다지기 위해선 당분간 저금리 기조를 이어갈 수밖에 없을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인 만큼 주식 채권 등에서 거품이 부풀 소지가 적지 않다.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부채가 급증세를 이어가고 있는 점도 부담스럽다. 금리 인상이 지연될수록 충격도 그만큼 커진다는 뜻이다.

그런 점에서 정부와 통화당국은 보다 경각심(警覺心)을 갖고 정책 수행에 임하지 않으면 안된다. 특히 경제 전반에 가장 큰 변수로 작용할 금리인상의 타이밍이 빠르지도,늦지도 않도록 유연한 대응태세를 갖출 필요가 있다.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이 이 땅에서 재연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