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뚝산업도 살자" 대덕단지 제조업체의 하소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특구 지정전 입주기업들 환경규제 묶여 증설 못해
700개업체 중 절반 '첨단산업 육성' 명목에 역차별
700개업체 중 절반 '첨단산업 육성' 명목에 역차별
"700여개 기업 중 절반가량이 설비 증설이나 교체를 못 하고 있습니다. 지식경제부가 2008년 대덕 일대를 특구로 고시하면서 기존 제조업체들이 환경 규제에 묶였기 때문이지요. 이전 대책도 마련해 주지 않고 있어요. 이대로 문을 닫으란 말입니까. "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가 지정되기 이전부터 특구 안에 있던 350여개 전통 제조업체들이 특구 규제 때문에 설비 교체는 물론 증설도 못 하고 있다며 정부에 대책 마련을 호소하고 있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대덕특구 내 자동차 부품업체 등은 내수와 수출이 회복 기미를 보임에 따라 한시바삐 설비를 확충하거나 교체해야 하지만 특정 유해물질 배출 업종이라는 이유로 투자가 막힌 상태다.
◆특구지정 때 대책 미비
대덕특구 내 전통 제조업체들의 투자가 묶인 것은 2008년 10월 정부가 대덕 일대를 연구개발특구로 지정하면서부터다. 특구로 고시된 이후 이곳에는 첨단기술기업 또는 연구소기업만 입주하게 됐다.
정부의 특구 지정은 이미 입주해 있는 기존 제조업체들을 무시한 채 이뤄졌다는 게 업체들의 지적이다. 현재의 대덕특구 1~4지구 내에 제조업체가 산재해 있는 데도 제대로 조사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이전지 조성 등 대책도 세우지 않고 특구만 지정했다는 게 업체들의 얘기다.
◆기업 실태
특구 지정 전인 2006년 이곳에 둥지를 튼 자동차부품 업체 진합은 대전의 대표적인 중견기업이지만 제품 표면처리 공정용 도장시설을 증설하지 못하고 있다. 이 회사는 수차례 대전시에 증설 신청을 했지만 불가능하다는 통보만 받았다. 연간 매출이 1000억원이 넘고 지난해 5300만달러를 수출한 '잘나가는' 회사지만 특구 내에선 기피업체가 됐다.
현대 · 기아차와 세계 20여개 자동차 관련 회사에 볼트류 등을 납품하는 피엔씨테크도 마찬가지다. 이 회사는 월 1000t 규모의 도장 설비를 당장 1800t으로 늘려야 하지만 냉간단조 제품을 표면처리하는 업종이라는 이유로 손발이 묶인 상태다. 이곳 자동차부품 업계는 앞으로 3년 내에 50% 이상의 설비를 증설하지 않으면 늘어나는 완성차업계의 물량을 다른 업체에 빼앗길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이 회사 관계자는 "설비증설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자칫 잘못하면 부품 불량으로 도요타 리콜사태 같은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자동차 핵심부품인 휠, 브레이크 호스, 엔진에 들어가는 볼트류가 도장불량 등으로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많다.
특장차 제조업체 이텍산업의 이두식 대표는 "제조업의 특성상 상당수 대덕특구 업체들이 제품을 마무리하는 과정에서 도장 및 수처리 작업이 필요하다"며 "첨단산업 육성이라는 명목 때문에 현실에 맞지 않게 제조업을 규제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정부 "이해는 하지만"
대전시는 제조업체들의 절박한 호소가 잇따르자 뒤늦게 정부에 규제를 풀어줄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대전시는 행정안전부가 운영하는 '기업 Happy 서포터즈'를 대덕특구로 초청,직접 애로사항을 듣도록 주선했다. 행안부는 제조업체들의 의견을 청취해 갔다. 지역 기업 관계자들은 "과거에도 정부 고위 관계자들이 대덕특구를 방문해 민원을 듣고 갔지만 아직까지 감감 무소식"이라고 분통을 터뜨렸다. 지경부는 특구 규정상 특정 유해물질 배출 업종은 신 · 증설을 허가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양측 간 갈등은 쉽사리 해소되기 어려운 상태다.
대전=백창현 기자 chbaik@hankyung.com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가 지정되기 이전부터 특구 안에 있던 350여개 전통 제조업체들이 특구 규제 때문에 설비 교체는 물론 증설도 못 하고 있다며 정부에 대책 마련을 호소하고 있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대덕특구 내 자동차 부품업체 등은 내수와 수출이 회복 기미를 보임에 따라 한시바삐 설비를 확충하거나 교체해야 하지만 특정 유해물질 배출 업종이라는 이유로 투자가 막힌 상태다.
◆특구지정 때 대책 미비
대덕특구 내 전통 제조업체들의 투자가 묶인 것은 2008년 10월 정부가 대덕 일대를 연구개발특구로 지정하면서부터다. 특구로 고시된 이후 이곳에는 첨단기술기업 또는 연구소기업만 입주하게 됐다.
정부의 특구 지정은 이미 입주해 있는 기존 제조업체들을 무시한 채 이뤄졌다는 게 업체들의 지적이다. 현재의 대덕특구 1~4지구 내에 제조업체가 산재해 있는 데도 제대로 조사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이전지 조성 등 대책도 세우지 않고 특구만 지정했다는 게 업체들의 얘기다.
◆기업 실태
특구 지정 전인 2006년 이곳에 둥지를 튼 자동차부품 업체 진합은 대전의 대표적인 중견기업이지만 제품 표면처리 공정용 도장시설을 증설하지 못하고 있다. 이 회사는 수차례 대전시에 증설 신청을 했지만 불가능하다는 통보만 받았다. 연간 매출이 1000억원이 넘고 지난해 5300만달러를 수출한 '잘나가는' 회사지만 특구 내에선 기피업체가 됐다.
현대 · 기아차와 세계 20여개 자동차 관련 회사에 볼트류 등을 납품하는 피엔씨테크도 마찬가지다. 이 회사는 월 1000t 규모의 도장 설비를 당장 1800t으로 늘려야 하지만 냉간단조 제품을 표면처리하는 업종이라는 이유로 손발이 묶인 상태다. 이곳 자동차부품 업계는 앞으로 3년 내에 50% 이상의 설비를 증설하지 않으면 늘어나는 완성차업계의 물량을 다른 업체에 빼앗길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이 회사 관계자는 "설비증설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자칫 잘못하면 부품 불량으로 도요타 리콜사태 같은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자동차 핵심부품인 휠, 브레이크 호스, 엔진에 들어가는 볼트류가 도장불량 등으로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많다.
특장차 제조업체 이텍산업의 이두식 대표는 "제조업의 특성상 상당수 대덕특구 업체들이 제품을 마무리하는 과정에서 도장 및 수처리 작업이 필요하다"며 "첨단산업 육성이라는 명목 때문에 현실에 맞지 않게 제조업을 규제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정부 "이해는 하지만"
대전시는 제조업체들의 절박한 호소가 잇따르자 뒤늦게 정부에 규제를 풀어줄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대전시는 행정안전부가 운영하는 '기업 Happy 서포터즈'를 대덕특구로 초청,직접 애로사항을 듣도록 주선했다. 행안부는 제조업체들의 의견을 청취해 갔다. 지역 기업 관계자들은 "과거에도 정부 고위 관계자들이 대덕특구를 방문해 민원을 듣고 갔지만 아직까지 감감 무소식"이라고 분통을 터뜨렸다. 지경부는 특구 규정상 특정 유해물질 배출 업종은 신 · 증설을 허가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양측 간 갈등은 쉽사리 해소되기 어려운 상태다.
대전=백창현 기자 chbai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