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닷컴] 진동수 금융위원장은 14일 “올해 산업은행 민영화 준비에 들어가 내년부터 민영화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진 위원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업무보고에서 공공기관 선진화 방안에 묶여 산업은행 민영화에 차질이 발생하는 것 아니냐는 김동철 민주당 의원의 지적에 대해 “산업은행은 국책은행으로서의 문제와 민영화 과제가 동시에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진 위원장은 “정부는 산업은행 민영화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며 “조화로운 민영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진 위원장은 또 이성남 민주당 의원이 외국계은행 국내지점(외은 지점)의 핫머니성 단기외채가 다시 급증해 유동성 규제가 시급하다는 지적에 대해 “단계적인 적용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외은지점 문제는 금융위도 굉장히 중요한 과제로 인식하고 장단기로 여러 대응방안을 준비하고 있다”면서 “일단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이 적은 부분은 이미 시행하고 있고 단계적으로 그런 부분에 대해서 적용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진 위원장은 ‘경기역행적인 외화레버리지 규제 비율의 도입이 시급하다’는 의견에 대해서도 “실효성이 있는 방안으로 반드시 도입을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외채 총량지표 도입 견해에 대해서는 “충분히 생각할 수 있는 방안이지만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면서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현행 대부업체 등록제를 허가제로 바꾸는 방안에 대해서는 “등록제에서 허가제로 가면 제도권에 들어온 대부업체도 뒤로 갈 우려가 있다”며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